주 메뉴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주요 외국의 형사화해조정 운용 및 평가에 대한 연구

  • 작성일2009.02.11
  • 조회수2,248

주요 외국의 형사화해조정 운용 및 평가에 대한 연구

좌우로 스크롤 하시면 표의 전체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

연구책임자, 소속기관,내부연구참여자,외부참여연구자,발행기관,공개여부,출판일,등록일,페이지,분류기호,언어,판매여부,판매가격,보고서유형,ISBN,표준분류,연구유형,자료유형
연구책임자 탁희성 소속기관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내부연구참여자 탁희성 외 1인 외부참여연구자
발행기관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공개여부 공개
출판일 2008-12 등록일 2009.02.11
페이지 0 분류기호 08-19-03
언어 한국어 판매여부 판매
판매가격 7000 보고서유형
ISBN 표준분류
연구유형 자료유형
국문요약 15

제1장 서론 27
제1절 연구 목적과 필요성 27
제2절 연구범위와 방법 31
제2장 영국, 미국과 캐나다 형사상 조정제도 35
제1절 영국, 미국과 캐나다 형사상 조정제도의 도입과 발전과정 35
1. 미국의 형사상 조정제도의 기원과 변화 35
가. 형사상 조정제도의 발생 35
1) 피해자-가해자 화해제도(Victim-Offender Reconcilation Program) 35
2) 공동체 분쟁 해결 모델 (Community Dispute Resolution Model) 37
나. 피해자-가해자 조정제도와 유사제도들 38
다. 형사상 조정제도의 확대 39
1) 조정제도 확산 운동 39
2) 형사사법절차의 근본이념의 전환 42
3) 기존 형사사법제도의 보완 42
2. 영국의 형사상 화해조정제도의 기원과 변화 44
가. 영국의 형사상 화해조정제도의 발생과 전개 44
나. 유럽 연합과 영국의 형사상 화해조정 47
3. 캐나다의 형사상 조정제도의 기원과 변화 48
가. 캐나다 형사상 조정제도의 기원 48
나. 원주민 문화와 캐나다의 형사상 조정 48
제2절 영국, 미국, 캐나다의 형사상 조정제도의 운영 현황 49
1. 미국의 형사상 조정제도의 운영 현황 49
가. 각 주와 연방의 형사상 조정제도의 법적 근거 49
나. 운영 절차 52
1) 조정 준비 52
① 조정회부 사건 선정 52
② 조정자 선정과 교육 53
2) 조정 전 사전 접촉 55
3) 조정 56
4) 조정 후 절차 58
다. 참여자의 권리와 의무 58
1) 조정자 58
① 공정성과 중립성 58
② 면책권 59
2) 양당사자의 자율권 60
3) 비밀유지의무 63
라. 운영 모델별 분류 65
1) 범죄 유형별 65
① 청소년 범죄와 형사상 화해조정제도 65
② 경죄 혹은 중죄와 형사상 화해조정제도 66
2) 참여자별 유형 68
① 피해자-가해자 조정(Victim-Offender Mediation) 68
2) 지역공동체 조정(Community Mediation) 69
3) 운영방법 및 기금에 따른 조정제도 69
① 정부 운영 형사상 조정 제도 70
② 기타 비정부 단체 후원 조정 제도 71
4) 형사절차 대비 운영 시점에 의한 분류 72
5) 조정제도의 목적에 의한 분류 74
① 인본주의적 조정제도 74
② 문제해결형 조정제도 75
③ 사건조절형 조정제도 75
2. 영국의 형사상 조정제도의 운영 현황 76
가. 영국의 형사상 조정제도의 법적 근거 76
나. 운영 절차 77
1) 소년사법 내의 조정 77
① 경찰 77
② 소추기관 (prosecution service) 78
③ 소년법원 (youth court) 78
ⅰ) 조정회부 78
ⅱ) 배상 명령(reparation order) 79
ⅲ) 조치계획명령(Action Plan Orders) 79
ⅳ) 감독 명령(Supervision Orders) 80
2) 성인을 포함해서 운영되는 조정 80
다. 운영모델별 분류 82
1) 당사자의 대면여부 82
2) 후원 및 자금지원 82
① 소년사법의 피해자-가해자 조정제도 82
② 기타 영역의 피해자-가해자 조정제도 83
3. 캐나다의 형사상 조정제도의 운영 현황 83
가. 조정제도 83
1) 캐나다 교정국 산하 조정 유형 83
① 브리티시 콜럼비아 주 (British Columbia) 83
② 나머지 주의 조정 84
2) 지역 비영리 단체 운영 조정 84
나. 기타 회복적 사법 86
1) 공동체 참가형 회복적 사법제도(Community Based Restorative Justice) 86
① 왕립 캐나다 기마 경찰(Royal Canadian Mounted Police) 86
② 청소년 보호 법률(Youth Criminal Justice Act of 2002)상의 회복적 사법 86
2) 법원의 양형재량의 활용으로써의 회복적 사법 87
제3절 영국, 미국, 캐나다의 형사상 조정제도에 대한 평가 88
1. 미국의 형사상 조정제도에서 제기되고 있는 성과와 문제점 88
가. 성패를 평가하는 기준 88
나. 성공적인 측면 90
1) 비용⋅편익 비교 90
2) 참여자의 만족도 91
3) 배상합의 94
4) 재범률의 감소 95
5) 기소 대안(Diversion) 96
다. 미국의 피해자-가해자 조정에 대한 우려와 부정적인 측면 97
1) 비밀유지 97
2) 피해자와 가해자의 힘의 균형 문제 98
3) 조정결과의 적정성 99
4) 정식 형사소송 보다 미흡한 당사자의 권리보호 99
5) 참여자의 만족도 99
6) 조정자 선정과 훈련 제도의 미비 100
2. 영국의 형사상 조정제도에 대한 평가 101
가. 긍정적인 측면 101
1) 참가자의 만족도 101
2) 참가자의 자발적 참여 101
3) 재범률 103
나. 부정적인 측면 105
1) 조정 회부 등 초기 피해자 접촉 105
2) 분쟁해결의 전술적 문제 105
3) 영리 단체의 조정제도 운영 105
3. 캐나다의 형사상 조정제도에 대한 평가 106
가. 미국의 화해조정과의 비교 106
1) 화해조정제도의 유형 106
2) 조정절차 106
3) 실증평가결과 107
나. 캐나다 조정제도의 발전 가능성 108
제3장 프랑스 형사조정 및 형사화해제도 109
제1절 프랑스 형사조정제도의 기원 및 발전 110
1. 화해조정관 110
2. 형사조정제도의 도입 111
3. 검사 주도의 신속처리절차와 형사조정 113
가. 검사 주도의 신속처리절차 113
1) 즉시출두제도(comparution immédiate) 113
2) 실시간 처리(TTR: Traîtement du Temps Réel) 113
3) 간이즉시출두절차(comparution sur reconnaissance préalable de culpabilité) 114
나. 검사 주도의 형사조정제도(médiation pénale) 114
1) 형사조정제도 114
2) 형사화해제도(Composition Pénale) 115
4. 소결 115
제2절 형사조정제도의 현황 116
1. 형사조정제도와 다른 제도와의 비교 116
가. 서론 116
나. 제3자 조정: 형사조정(médiation pénale) 116
다. 검사 조정: 형사화해제도(composition pénale) 116
라. 가해자-피해자 간 조정(offender-victim mediation) 116
마. 소결 117
2. 1993년 법: 형사조정제도의 도입 117
가. 서론: 제도의 고안 117
나. 1993년 법률 118
1) 법과 법률 118
2) 법률 제5조 119
3) 형사조정제도의 실제 운용 120
4) 기소대체수단(mesures alternatives aux poursuites) 122
3. 1999년 법률: 형사조정제도의 확대: 형사화해 124
가. 서론 124
나. 1999년 법률 및 그 이후의 변화 125
1) 1999년 법률 제41-1조 125
2) 1999년 법률 제41-2조 127
3) 2002년 법률 제41-2조 130
4) 2004년 법률 131
5) 2007년 법률 132
다. 결론 133
4. 형사조정 및 형사화해제도 134
가. 프랑스의 경죄처리절차 134
나. 경죄처리절차의 과제 137
1) 전문 인력의 확보 137
2) 수강명령 등 사회 내 처우의 담당기관 확충 137
3) 분류의 문제 138
4) 기존 절차와의 조화의 문제 138
5) 회복적사법제도와 비교 138
제3절 프랑스 형사조정 및 형사화해제도와 회복적사법제도에 대한 평가 139
1. 양적 평가 139
2. 차후 과제 140
제4장 독일의 가해자-피해자 조정(Täter-Opfer-Ausgleich) 141
제1절 가해자-피해자 조정제도 도입 배경 141
제2절 가해자-피해자 조정제도의 법적 근거 142
1. 소년범에 대한 가해자-피해자 조정의 법적 근거로서 소년법원법 143
가. 소년법원법의 개정 143
나. 소년법원법상 규정의 내용 143
2. 성인에 대한 가해자-피해자 조정의 법적 근거로서 형법과 형사소송법 144
가. 입법과정 144
나. 독일 형법 제46a조 146
다. 독일 형사소송법 제153a조, 제155a조 148
제3절 가해자-피해자 조정 과정 152
1. 가해자-피해자 조정의 전제요건 152
2. 조정수행기관 153
3. 조정 발의의 주체 154
4. 조정절차의 구체적 절차 154
5. 조정절차의 종결 156
제4절 가해자-피해자 조정제도의 운용 현황 157
1. 독일에 있어서 가해자-피해자 조정 현황분석의 한계 157
2. 독일 연방의 가해자-피해자 조정 통계(1993-2005) 158
가. 전체적인 경향 158
나. 형사절차에 따른 가해자-피해자 조정 시도 158
다. 가해자-피해자 조정 제안의 주체 160
라. 대상범죄 161
마. 조정절차의 처리결과 162
바. 조정합의의 내용 163
사. 조정합의의 이행여부 165
3. Bremen 주의 10년간 가해자-피해자 조정통계(1997-2007) 165
가. 조정제안의 주체 165
나. 조정대상 범죄유형별 분포 166
다. 조정성립율 167
제5절 독일의 가해자-피해자 조정에 대한 평가 168
제5장 각국의 형사조정 운용 및 평가에 대한 검토 및 전망 171
1. 조정제도의 여러 가지 이념과 목적들 간의 조화의 어려움 171
2. 공동체의 역할의 증대 172
3. 개선형ㆍ인본주의적 조정제도에 대한 옹호 174
4. 조정 참가자들의 높은 만족도 175
5. 자발성의 다변화된 평가 176
6. 비영리단체의 조정제도 운영 비용과 상업화의 우려 176

참고문헌 179

Abstract 195

첨부파일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