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메뉴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형사정책과 사법개혁에 관한 조사 연구 및 평가(Ⅲ) : 개정 형사소송법에 대한 평가연구

  • 작성일2010.04.16
  • 조회수847

형사정책과 사법개혁에 관한 조사 연구 및 평가(Ⅲ) : 개정 형사소송법에 대한 평가연구

좌우로 스크롤 하시면 표의 전체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

연구책임자, 소속기관,내부연구참여자,외부참여연구자,발행기관,공개여부,출판일,등록일,페이지,분류기호,언어,판매여부,판매가격,보고서유형,ISBN,표준분류,연구유형,자료유형
연구책임자 박미숙 소속기관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내부연구참여자 박미숙 외 5인 외부참여연구자
발행기관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공개여부 공개
출판일 2009-12 등록일 2010.04.16
페이지 0 분류기호 09-23
언어 한국어 판매여부 판매
판매가격 10000 보고서유형
ISBN 표준분류
연구유형 자료유형
국문요약 27

제1부 개정 형사소송법에 대한 평가연구 개관 41
제1장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43
제2장 연구의 범위 및 연구내용 45
제3장 연구의 방법 51
제1절 입법평가의 의의와 유형 51
1. 사전적 입법평가 52
2. 병행적 입법평가 53
3. 사후적 입법평가 54
제2절 사후적 입법평가의 대상규범 56
제3절 사후적 입법평가의 절차와 방법론 57
1. 사후적 입법평가의 절차 58
2. 심사기준의 확정 58
3. 비교방식의 선택 60
4. 기타 관련 자료의 조사 61
가. 공식통계자료의 활용 61
나. 전문가워크숍의 개최 61
다. 수범자설문조사의 실시 62
제4장 연구의 평가 67
제1절 개정 형사소송법상 재정신청제도에 대한 평가와 개선방안 69
제2절 개정 형사소송법에서의 피해자의 지위변화에 대한 진단과 전망 71
제3절 구속석방제도의 운용에 대한 평가와 개선방안 75
제4절 피의자신문영상녹화와 형사증거법상 쟁점 및 평가와 개선방안 75

제2부 개정 형사소송법상 재정신청제도에 대한 평가와 개선방안 79
제1장 서 론 81
제1절 연구의 목적 81
제2절 연구의 방법 및 범위 82
제2장 재정신청제도의 입법연혁 85
제1절 형사소송법 입법당시의 재정신청제도 85
제2절 1973년 개정 형사소송법상 재정신청제도 89
1. 주요내용 89
2. 운용실태 90
3. 문제점 92
4. 재정신청제도 전면확대에 대한 논의 93
가. 대상범죄 제한의 위헌성 95
나. 재정신청제도의 확대의 전제 : 반대논거 검토 96
다. 재정신청제도의 확대논의 105
라. 법원의 업무부담 과중 110
제3장 개정 형사소송법상 재정신청제도 111
제1절 개정논의의 배경 111
제2절 주요내용 113
1. 재정신청의 신청권자 113
2. 항고전치주의 114
3. 관할법원 114
4. 법원의 처분의 범위 115
5. 재정신청사건 기록의 열람 ․ 등사 제한(제262조의2) 116
6. 공소유지변호사제도의 폐지 117
7. 유책고소인에 대한 절차비용부담제 118
제3절 개정 형사소송법상 재정신청제도의 의의 평가 121
1. 검찰권행사의 공정성 보장을 통한 형사사법체계 부합성 확보 121
2. 재정신청제도와 피해자소추이익의 보장 127
제4장 재정신청제도의 운용실태 분석 129
제1절 현행 제도를 둘러싼 쟁점 130
1. 재정신청의 대상 130
2. 검찰항고전치주의 130
3. 관할법원 131
4. 심리기간 131
5. 심리방식 131
6. 불복절차 132
7. 공소유지변호사제도의 폐지 132
8. 비용부담 133
제2절 통계분석의 범위와 쟁점별 분석, 개선방안 133
1. 통계분석의 범위 133
2. 쟁점별 통계분석 134
가. 남신청의 폐해 우려에 대하여 134
나. 전심관여의 문제에 대하여 135
다. 심리기간과 심리방식에 대하여 136
라. 공소유지의 적정 여부에 대하여 139
마. 공무원 직무 범죄에 대한 재정신청 활용 실태 143
3. 통계분석 결과 145
4. 개선방안 145
가. 재정신청권자의 전면 확대 145
나. 관할의 재검토 146
다. 심리의 철저 146
라. 검사 공소유지제도의 재검토 147
제3절 전문가 의견조사 147
1. 재정신청의 대상 확대 147
2. 검찰항고전치주의 150
3. 관할법원 152
4. 심리기간 154
5. 심리방식 156
6. 불복절차 158
7. 공소유지변호사제도의 폐지 161
8. 비용부담 163
제4절 재정신청사건 기록검토 165
제5장 평가 및 제언 169
제1절 운용실태에 평가 170
제2절 재정신청제도와 피해자보호 172
1. 재정신청권자의 제한 172
2. 신청권자 제한의 문제점 173
가. 신청 남발의 우려에 대하여 173
나. 공무원 직무범죄에 대한 재정신청제도의 기능 상실 174
다. 기업범죄에 대한 재정신청제도의 기능 상실 176
라. 평가 및 제언 178
제3절 남신청의 우려 및 업무부담 179
1. 남신청의 우려 179
2. 재정신청인의 절차이용비용부담 180

제3부 개정 형사소송법 상 피해자 지위변화에 대한 진단과 전망 183
제1장 들어가는 말 185
제1절 ‘개정 형사소송법’과 범죄피해자의 부상 185
제2절 개정 형사소송법상의 범죄피해자 보호조항 187
1. 범죄피해자의 ‘인격권’ 보호와 관련된 내용 188
2. 범죄피해자의 ‘정보권’ 보장과 관련된 내용 188
3. 피해자 ‘법정진술권’의 강화(법 제294조의 2) 188
4. 재정신청전면확대(별도의 독립된 연구주제로 되어 있으므로 본 연구과제에서는 검토를 생략함) 188
제3절 논의의 전개과정 189
제2장 범죄피해자의 형사절차상의 지위변화: 개정 형사소송법 이전시대 191
제1절 우리나라의 범죄피해자 지위강화의 연대별 발자취 191
1. 1980년대 이후 191
2. 2004년 법무부의 종합대책 이후 193
제2절 개정 형사소송법 이전의 범죄피해자 우호적 형사정책에 대한 종합평가 195
1. 피해자의 재발견의 동인 195
2. 개정 형사소송법이전의 피해자 우호적 형사정책의 문제점 197
제3장 개정 형사소송법상의 피해자관련규정에 대한 진단과 평가 201
제1절 문제의 제기 201
제2절 ‘개정 형사소송법’과 범죄피해자 보호 규정에 대한 진단과 평가의 기준들 202
제3절 개정 형사소송법상 피해자 보호 관련 조항에 대한 진단 202
1. 피해자 등에 대한 통지(제259조의2) 202
가. 개정의 배경 203
나. 개정 내용 203
다. 진단 204
라. 평가 206
2. 피해자 등의 공판기록 열람 ․ 등사(제294조의 4) 207
가. 개정의 배경 208
나. 개정 내용 209
다. 진단 209
라. 평가 210
3. 신뢰관계에 있는 자의 동석(제163조의2조, 제221조) 211
가. 개정의 배경 211
나. 개정 내용 212
다. 진단 213
라. 평가 216
4. 비디오 등 중계장치 등에 의한 증인신문(제165조의2) 218
가. 개정 배경 219
나. 개정 내용 219
다. 진단 220
라. 평가 224
5. 피해자진술의 비공개(제294조의3) 226
가. 개정의 배경 226
나. 개정 내용 227
다. 진단 227
라. 평가 228
6. 피해자 등의 진술권의 확대(제294조의2) 229
제4장 개정 형사소송법의 피해자보호이념과 피해자의 지위 237
제1절 개정 형사소송법의 피해자관련조항에 대한 종합평가 237
제2절 개정 형사소송법상 피해자의 지위변화 241
제3절 균형사법의 추구방안 243
1. 국제적인 표준 243
2. 피해자의 지위에 관한 선진입법례 249
가. 피해자변호인제도 249
나. 피해자참가제도 251
다. 권리고지의 의무화 254
라. 피해자(증인)신문시 부담경감을 위한 신문제한조치 255
마. 피해자-가해자-형사조정제도 256
3. 피해자의 이익과 가해자의 이익의 제로섬게임? 260
제5장 나오는 말 263

제4부 구속 ․ 석방제도의 운용에 대한 평가와 개선방안 267
제1장 서 론 269
제1절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269
제2절 연구 내용 및 방법 270
1. 연구의 내용과 범위 270
2. 연구의 방법 272
3. 조사대상의 표본과 구성 274
가. 조사의 대상 범위 274
나. 조사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275
제2장 개정법상의 구속・석방관련 개정내용 277
제1절 개관 277
1. 피고인 구속․석방관련 개정내용 278
가. 구속관련(구속영장 청구, 발부 및 집행) 278
나. 석방관련(보석제도의 개정) 278
2. 피의자 구속․석방관련 개정내용 279
가. 구속관련 279
나. 석방관련 279
제2절 개정법규의 구체적 내용 및 검토사항 279
1. 피고인 구속․석방관련 개정법규 279
가. 구속관련 개정부분 279
나. 석방관련 개정부분 285
2. 피의자 구속․석방관련 개정법규 295
가. 구속관련 개정부분 295
나. 석방관련 개정부분: 체포․구속적부심사 298
3. 검토사항 300
가. 피고인 구속・석방관련 300
나. 피의자 구속・석방관련 303
제3장 세부영역별 실무운용실태와 문제점 및 평가 307
제1절 개 요 307
1. 서술체계 307
2. 설문조사 결과의 활용 308
제2절 구속 일반 310
1. 운용현황 및 문제상황 310
가. 구속 전 피의자심문제도의 도입과 구속제도 운용실태의 변화 310
나. 실무상의 구속이해와 실형기준원칙의 의의 311
다. 구속사유 관련 문제상황 313
라. 구속사유심사시 고려사항 315
마. 영장발부기준의 모호성 문제 317
바. 미체포 피의자에 대한 구인의 문제 318
사. 불구속수사원칙의 실현 정도 319
2. 구속관련 실무지침 321
가. 대법원예규 321
나. 대검예규 326
다. 비교 검토 333
3. 설문결과 분석 334
4. 요약 및 검토 357
제3절 체포・구속적부심제도의 운용 360
1. 운용현황과 문제점 360
가. 운용현황 360
나. 해석상의 논란 362
2. 설문결과 분석 364
3. 검토사항 364
제4절 보석제도의 운용 365
1. 운용현황과 문제점 365
가. 실무상 보석제도 운용의 기본방향 365
나. 종래의 보석운용의 특징과 문제점 366
다. 개정법 시행 이후 보석제도운용의 변화 369
라. 불구속재판의 확대와 그 실현방안 371
2. 설문결과 분석 376
3. 요약 및 검토 389
제5절 구속취소 및 구속집행정지 제도의 운용 390
1. 운용현황 390
2. 설문결과 분석 392
3. 검 토 395
제6절 평가 395
1. 평가기준과 평가방법 395
가. 평가기준 395
나. 평가방법 398
2. 영역별 평가 400
가. 구속 일반 400
나. 체포․구속적부심제도 402
다. 보석제도 402
라. 구속취소 및 구속집행정지 제도 403
제4장 개정법상 구속・석방제도 개선에 관한 논의현황 405
제1절 구속 일반 405
1. 구속사유와 체포사유로서의 ‘범죄혐의의 상당성’ 405
가. 논의 현황 405
나. 검토 406
2. 구속사유심사시 고려사항 407
가. 사안의 중대성 등이 독자적인 구속사유인지 여부 407
나. 사안의 중대성 등을 구속사유로 규정하는 문제 407
3. 구속사유심사기준의 객관화 문제 408
제2절 구속 전 피의자심문제도 관련 409
1. 미체포된 피의자에 대한 구인영장 발부의 타당성 문제 409
2. 구속 전 피의자심문기간의 구속기간 불산입 문제 410
3. 구속 전 피의자심문의 본안재판화 문제 411
4. 영장재판에 대한 불복 문제: 영장항고제의 도입 여부 412
가. 논의 현황 412
나. 검토 416
제3절 구속적부심제도 관련 417
1. 적부심청구권의 확대 문제 417
2. 체포․구속적부 심사기간의 구속기간 불산입 문제 418
가. 논의 현황 418
나. 검토 419
3. 청구기각결정에 대한 이유 명시와 항고 인정 여부 420
제4절 보석제도 관련 421
1. 필요적 보석 제외사유의 축소 문제 421
가. 논의 현황 421
나. 검토 422
2. 보석절차의 개선 422
가. 보석권의 고지 422
나. 보석불허결정시 이유 명시 423
3. 보석조건의 이행감독을 위한 감시장치의 확충 423
4. 영장보석제도의 도입 424
가. 현행 피의자보석 제도의 문제점 424
나. 피의자에 대한 보석청구권 인정 요망 424
다. 영장보석제도와의 연계 425
5. 피고인도망 방지책 마련의 필요성 여부 426
제5절 구속취소 및 구속집행정지 제도 관련 427
1. 석방제도의 통합 논의 427
가. 개정과정에서의 논의 427
나. 보석과 구속집행정지 구별의 무의미성과 통합가능성 여부 427
제5장 개선방안 429
1. 구속 일반 429
2. 체포 ․ 구속적부심제도 431
3. 보석제도 431
4. 구속취소 및 구속집행정지 제도 432

제5부 피의자신문 영상녹화의 평가와 개선방안 433
제1장 서 론 435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435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436
제2장 개정 형사소송법상 영상녹화제도 개관 439
제1절 영상녹화제도의 도입과정 439
제2절 영상녹화의 절차 및 운영방식 440
1. 영상녹화의 준비 440
2. 영상녹화의 실행 441
3. 영상녹화의 종료 442
4. 영상녹화물의 보관 및 열람 443
5. 영상녹화물의 증거제출 444
6. 영상녹화물의 조사 445
제3절 영상녹화제도 운용현황 445
1. 조사실 설치 현황 446
2. 영상녹화 조사현황 448
제3장 미국의 영상녹화제도 개관 451
제1절 영상녹화제도의 도입 배경 및 논의 451
1. 잘못 선고된 유죄판결에 대한 반성 452
2. 영상녹화의 장점 및 단점을 둘러싼 논쟁 453
가. 영상녹화제도의 도입 찬성 근거 453
나. 영상녹화제도의 도입 기피 이유 455
3. 연방수사기관의 피의자신문 영상녹화제도에 대한 입장 분석 458
가. 수사관과 피의자간의 신뢰관계형성에 방해가 될 가능성 458
나. 피의자가 진술을 꺼리게 될 가능성 459
다. 적법하지만 부적절해 보이는 수사기법을 위법으로 오해할 가능성 460
라. 기술적이거나 작동상의 문제들로 인해 적법한 피의자의 진술이 증거배척될 가능성 461
제2절 영상녹화 시행의 근거 461
1. 적법절차의 원리 461
2. 주 대법원의 판례 462
3. 주의 입법 463
4. 수사기관의 자발적 도입 464
제3절 영상녹화 실시 현황 465
1. 전반적 운영현황 465
2. 주요 주의 영상녹화 운영 현황 466
가. 일리노이 주 466
나. 위스콘신 주 470
다. 워싱턴 D.C 472
제4절 소결 475
제4장 영상녹화의 인권보장성 평가 477
제1절 조사의 목적 및 방법 477
1. 조사의 목적 및 설문의 구성 477
2. 조사방법 478
제2절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479
1. 조사대상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 479
2. 조사대상자의 피의자신문 관련 특성 480
제3절 결과 분석 483
1. 권리의 고지 483
2. 인권보장적 신문환경 487
3. 부적절한 수사관행의 감소 496
4. 영상녹화 경험 및 피의자의 선택: 영상 또는 조서 504
제4절 소결 507
제5장 수사기관의 영상녹화 활용 실태 및 인식 511
제1절 조사의 목적 및 방법 511
1. 조사의 목적 및 설문의 구성 511
2. 조사 및 분석방법 512
제2절 조사대상자의 직무관련 특성 513
제3절 결과 분석 514
1. 영상녹화의 활용 514
2. 영상녹화에 대한 선호도 520
3. 영상녹화의 효율성 및 업무 부담에 대한 인식 526
4. 영상녹화 전반에 대한 인식 536
제4절 소결 545
제6장 요약 및 결론 549

참고문헌 553

Abstract 567

첨부파일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