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메뉴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연쇄성폭력범죄자 프로파일링과 프로파일링 제도 연구

  • 작성일2010.04.16
  • 조회수1,222

연쇄성폭력범죄자 프로파일링과 프로파일링 제도 연구

좌우로 스크롤 하시면 표의 전체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

연구책임자, 소속기관,내부연구참여자,외부참여연구자,발행기관,공개여부,출판일,등록일,페이지,분류기호,언어,판매여부,판매가격,보고서유형,ISBN,표준분류,연구유형,자료유형
연구책임자 김지영 소속기관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내부연구참여자 김지영 외 2인 외부참여연구자
발행기관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공개여부 공개
출판일 2009-12 등록일 2010.04.16
페이지 0 분류기호 09-02
언어 한국어 판매여부 판매
판매가격 10000 보고서유형
ISBN 표준분류
연구유형 자료유형
제1부 연쇄성폭력범죄자 프로파일링

국문요약 25
제1장 연구목적 29
제1절 연구의 목적 및 의의 29
제2절 연구범주 및 방법 32
1. 연구범주 32
2. 연구방법 및 조사대상자 선정의 절차 33
제2장 프로파일링에 관한 이론적 고찰 39
제1절 심리학적 프로파일링 39
제2절 범죄자 프로파일링 43
제3절 지리학적 프로파일링 46
제4절 모호한 사망사건 분석 49
제5절 성폭력범죄자 프로파일링 52
1. 성폭력범죄자의 특성과 유형 52
2. 성범죄가 가지는 지리적 공간의 특성 56
제3장 연쇄성폭력범죄 및 연쇄성폭력범죄자의 특성 59
제1절 범죄유형 59
1. 범죄자별 성범죄수 59
2. 범죄유형 60
가. 범죄유형별 빈도 60
나. 범죄유형의 일관성 61
제2절 가해자의 특성 64
1. 연령 64
가. 연령대별 빈도 64
나. 연령대별 일관성 65
2. 혼인상태 및 자녀여부 67
가. 혼인상태 67
나. 자녀여부 68
다. 혼인상태 및 자녀여부의 일관성 68
3. 직업 70
4. 학력 71
5. 월수입 및 재정상태 71
가. 월수입 71
나. 재정상태 72
제3절 범행특성 72
1. 범행간격 72
가. 범행간격 72
나. 기소된 사건안에서 범행간격 73
2. 피해자-가해자 관계 74
가. 피해자-가해자 관계 빈도 74
나. 피해자-가해자 관계 일관성 74
3. 범행당시 음주여부 76
가. 범행당시 음주여부 76
나. 가해자 음주의 일관성 76
4. 범행발생시기 78
가. 계절별 발생시기 78
나. 범행발생시간대 78
5. 공범의 유무 79
가. 공범유무 79
나. 공범의 수 79
다. 가해자의 공범여부 일관성 80
6. 성교특성 80
가. 성교행위별 빈도 80
나. 성교유형별 빈도 81
다. 성교유형의 일관성 82
7. 폭행특성 87
가. 폭행별 빈도 87
나. 폭행유형별 빈도 88
다. 폭행유형의 일관성 89
8. 접근방법 91
가. 접근방법별 빈도 91
나. 접근방법유형별 빈도 92
다. 접근방법유형의 일관성 92
9. 소지한 범행도구 95
가. 소지한 범행도구의 빈도 95
나. 범행도구유형별 빈도 96
다. 범행도구유형별 일관성 96
10. 범행후 가해자 행동 99
11. 피해자 탈의의 정도 104
12. 피해자 저항 105
제4절 연쇄성폭력범죄자의 성장환경 및 주요전력 106
1. 주양육자 106
2. 성장기 경제상황 107
3. 학교생활 107
4. 직업전력 108
5. 군복무여부 109
제5절 연쇄성폭력범죄자의 사회적·심리적 특성 110
1. 정신적·신체적 장애 110
2. 사회적 관계 111
3. 이성관계 112
4. 성인물 소장 116
5. 대상자의 외적인 특성 116
6. 성기변형여부 118
7. 음주습관 118
제6절 연쇄성폭력범죄자의 범죄경력 및 수용기간 121
1. 최초 경찰입건나이 121
2. 청소년기 전과 121
3. 성인기 전과 122
4. 검거횟수 124
5. 현재 형기 및 이전 수용기간 124
6. 재범기간 125
7. 수용중 징벌횟수 126
8. 보호관찰위반, 집행유예위반, 가석방취소 126
제7절 연쇄성폭력범죄자의 분류처우심사결과 127
1. 형벌에 대한 태도 127
2. 피해자에 대한 태도 127
3. 처우에 대한 태도 128
4. 교도관에 대한 태도 128
5. 문제유발가능성 129
6. 재비행가능성 129
7. 위선행동가능성 130
8. 교정심리검사 130
9. 지능검사 131
10. 경비급점수 132
제8절 성범죄자 전체집단과 연쇄성폭력범죄자집단의 특성비교 132
1. 연령대 132
2, 혼인상태 134
3. 가해자 직업 135
4. 학력 136
5. 피해자-가해자 관계 137
6. 범행발생장소 138
7. 공범유무 139
8. 전과 141
9. 재범기간 142
제9절 연쇄성폭력범죄의 지리적 프로파일링 144
1. 성폭력범죄자의 특성과 지리적 공간의 관계 144
2. 연쇄성범죄의 지리적 공간의 특성 148
가. 범행장소와 가해자의 관계 148
나. 범행발생장소와 가해자관계의 일관성 148
다. 범행발생장소의 지역적 특성 151
라. 연쇄성폭력범죄자의 이동거리 152
마. 거주지역과 범행발생지역간의 관계 154
3. 조직적 성폭력범죄자의 특성과 지리적 공간간의 관계 155
가. 조직적 성폭력범죄자의 범죄유형 155
나. 조직적 성범죄자와 범행발생장소의 관계 157
다. 조직적 성범죄 발생지역의 특성 158
라. 조직적 성범죄의 범행발생시간 158
마. 조직적 성범죄자의 이동거리 159
바. 차량 및 공범을 가진 조직적 성범죄자의 이동거리 160
4. 비조직적 성범죄자의 특성과 지리적 공간간의 관계 163
가. 비조직적 성범죄자의 범죄유형 163
나. 비조직적 성범죄자와 범행발행장소의 관계 167
다. 비조직적 성범죄 발생지역의 특성 167
라. 비조직적 성범죄의 범행발생시간 168
마. 비조직적 성범죄자의 이동거리 168
바. 조직적 성범죄자와 비조직적 성범죄자의 평균이동거리비교 171
제10절 연쇄성폭력범죄자 유형분류 171
1. 연쇄성폭력범죄자의 유형 171
2. 유형별 범행 특성 175
3. 유형별 범행 수법의 일관성 177
4. 유형에 따른 범죄자 및 범죄의 특성 181
가. 유형에 따른 범죄자 특성비교 181
나. 유형에 따른 범죄 특성비교 189
제4장 결 론 193
제1절 연구내용요약 193
1. 범죄유형 및 가해자 특성 193
2. 범행특성 194
3. 연쇄성폭력범죄자의 성장환경 및 주요전력 197
4. 연쇄성폭력범죄자의 사회적·심리적 특성 198
5. 연쇄성폭력범죄자의 범죄경력 및 수용기간 199
6. 연쇄성폭력범죄자의 분류처우심사결과 200
7. 성범죄자 전체집단과 연쇄성폭력범죄자 집단간 특성비교 202
8. 연쇄성범죄의 지리적 프로파일링 203
9. 연쇄성폭력범죄자 유형분류 204
제2절 종합논의 206
제3절 연구의 의의 및 기대효과 210

제2부 프로파일링 제도 운영의 효율성 제고방안
국문요약 213
제1장 서 론 215
제1절 연구의 목적 215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17
1. 연구의 범위 217
2. 연구방법 218
제2장 각국의 프로파일링 활용실태 및 활용 사례 221
제1절 외국의 활용실태 및 사례 221
1. 미국 221
가. 프로파일링의 제도 운영 현황 221
나. 프로파일러의 채용 223
다. 프로파일링 활용 사례 224
라. 프로파일링의 효과성 검증 225
2. 영국 226
가. 과거 영국 프로파일링 제도의 운영 226
나. 현재 영국의 프로파일링 제도의 운영 227
다. 영국 프로파일링 학계의 동향 228
라. 영국의 프로파일링 활용사례 229
3. 캐나다 230
가. 캐나다의 프로파일링 제도 운영 현황 230
나. 캐나다의 프로파일링 활용 사례 232
4. 일본 233
가. 일본의 프로파일링 제도 운영 233
나. 일본의 프로파일링 활용 사례 233
제2절 한국의 활용실태 및 사례 234
1. 한국의 프로파일링 시스템 234
가. 한국의 수사전산시스템 234
나. 과학적범죄분석시스템(SCAS)의 도입 236
다. 과학적범죄분석시스템(SCAS)의 구조 238
라. 범죄분석의 절차 239
2. 한국의 프로파일러 채용 및 교육 240
3. 한국의 프로파일링 활용사례 243
4. 한국의 프로파일링 효과성 검증 244
제3장 한국 프로파일링의 문제점 및 발전 방향 247
제1절 한국 프로파일링의 문제점 247
1. 제도적 문제점 247
가. 인사제도의 문제점 247
나. 한국적 프로파일링의 연구․개발 부족 248
2. 구조적 문제점 250
가. 사건 취합 및 선별 과정 250
나. 프로파일러(범죄분석요원)의 실제 수사 참여도 부족 253
다. 수사 실무 경험 부족 254
라. 상급 관리자의 프로파일링 이해능력 부족 255
3. 교육 및 재교육의 문제점 256
가. 채용 직후의 기본교육 256
나. 전문화 교육의 문제 258
4. 일선 경찰서의 낮은 인식․수용 수준 259
가. 일선 경찰서의 인식 수준 259
나. 일선 경찰서의 수용 수준 261
5. 프로파일러의 수사참여도 부족 262
6. 수사관 및 부서별 협력의 부족 263
가. 수사관 협력의 부족 263
나. 부서별 협력의 부족 264
제2절 효과적인 프로파일링 활용을 위한 발전방향 264
1. 강력범죄 중앙수사팀 구성 264
2. 해외와의 범죄분석 자료 DB 공유 266
3. 일선 경찰서 수사관 프로파일링 준전문화 교육․홍보 267
4. 체크리스트를 활용한 수사자료 집중과 중앙 수사관리 270
5. 특채자들의 인사 불안정 해소 272
제4장 결 론 273
제1절 연구내용 요약 273
제2절 연구의 한계 275
제3절 활용방안 및 기대 효과 276

참고문헌 281

Abstract 289

부록 1: 수사기록조사지 293
부록 2: 심층면접질문지 303
부록 3: 범죄분석업무 운영지침 313
부록 4: 프로파일러 및 일선수사관 심층면접 설문자료 319

첨부파일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