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메뉴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우리나라 지역경찰의 치안활동 연구

  • 작성일2012.02.02
  • 조회수1,324

우리나라 지역경찰의 치안활동 연구

좌우로 스크롤 하시면 표의 전체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

연구책임자, 소속기관,내부연구참여자,외부참여연구자,발행기관,공개여부,출판일,등록일,페이지,분류기호,언어,판매여부,판매가격,보고서유형,ISBN,표준분류,연구유형,자료유형
연구책임자 조병인 소속기관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내부연구참여자 조병인 외 1인 외부참여연구자
발행기관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공개여부 공개
출판일 2011-12 등록일 2012.02.02
페이지 0 분류기호 11-08
언어 한국어 판매여부 판매
판매가격 15000 보고서유형
ISBN 표준분류
연구유형 자료유형
국문요약 19

제1장 서론(조병인) 35
제1절 문제의 제기 37
제2절 연구의 내용 40
제3절 연구 방법 44
1. 문헌 연구 44
2. 전문가 초청 워크숍 44
3. 설문조사 46
4. 소속관서 소재지의 특성 62
5. 응답자의 성별 분포 62
6. 순찰요원의 재직기간 63
7. 순찰요원의 입직경로 64
8. 순찰요원의 연령 분포 64
9. 순찰요원의 학력 분포 65

제2장 지역경찰활동 이론과 실험(이윤) 67
제1절 치안환경 및 경찰의 역할 변화에 대한 새로운 관심 69
1. 위험사회의 도래와 치안활동의 구조변동 69
2. 서구 사회의 지역사회 경찰활동 강화 72
3. 지역사회 경찰활동의 기반으로서의 절차적 정의 74
제2절 지역사회 경찰활동의 가치와 국내의 실험 79
1. 지역경찰의 중요성 79
2. 지역사회 경찰활동 81
3. 우리나라 지역경찰관서의 역사 85
4. 지역경찰의 주요 활동 89
5. 지역경찰 조직체계 99
제3절 지역경찰의 치안활동을 둘러싼 쟁점들 110
1. 지역경찰제 시행에 따른 득실관계 110
2. 지역경찰의 운영실태 116
3. 지역경찰의 순찰활동 실태 117
4. 지역경찰의 협력치안 실태 119
5. 경찰에 대한 주민인식의 형성 122
6. 지역경찰의 조직 및 운영 실태 123
7. 지역경찰의 범죄예방활동 실태 126
제4절 자치경찰제 도입의 시급성과 과제 130
1. 협력치안을 위한 파트너십의 중요성 130
2. 자치경찰제도 도입 추진경과 133
3. 자치경찰제 전면 시행 지체 134
4. 지역사회 경찰활동 강화방안 136

제3장 지역경찰 조직과 운영(조병인) 141
제1절 조직 및 운영의 기반 143
1. 지역경찰의 조직체계 143
2. 지역경찰관서 설치현황 147
3. 지역경찰의 장비 149
4. 지역경찰의 근무 155
5. 지역경찰의 업무량 160
제2절 112 전화신고 대응시스템 165
1. 신고접수 165
2. 출동 및 조치 166
3. 현장보존활동 168
4. 신고접수 및 출동 추이 168
제3절 주취자 보호와 조치 172
1. 주취자의 정의와 유형 172
2. 주폭의 정의와 특성 172
3. 주폭의 반사회성 173
4. 주취자 처리 175
제4절 지역경찰의 수사 179
1. 초동수사 179
2. 수사서류 작성 181
3. 수사진행 지원 183
4. 초동수사의 효과 185
제5절 파트너십과 협력치안 188
1. 생활안전협의회 188
2. 자율방범대 189
3. 협력치안 미흡 193
제6절 조직 및 운영 기반 분석결과 195
1. 지역경찰관서 설치기준 불명확 195
2. 112 순찰차량(소형차)의 부적합성 196
3. 지역경찰관서의 운영비 부족 196
4. ‘지역경찰 업무부담 경감 대책’의 효과 제한 196
5. 112신고 폭주로 고유업무 수행 차질 197
6. 주취자 보호・처리 체계의 법적 근거 부재 198
7. 파트너십과 협력치안 미흡 199

제4장 인력의 배치와 관리(조병인・이윤) 201
제1절 지역경찰 배치 203
1. 근거와 인원현황 203
2. 지역경찰관서의 인력구조 208
3. 지역경찰관서의 여자경찰관 216
4. 지역경찰 배치의 문제점 218
제2절 순찰인력의 근무와 복지 222
1. 주 40시간 원칙 적용 222
2. 교대근무 실태 223
3. 교대근무에 대한 경찰청 행정규칙 224
4. 대체휴무제도 228
5. 초과근무수당 229
6. 내근・지역경찰관 자원근무제 230
7. 지역경찰의 후생복지 231
제3절 지역경찰에 대한 교육 239
1. 근거와 의의 239
2. 지역경찰 교육 현황 240
제4절 지역경찰의 근무성적 평가 251
1. 성적평가의 근거와 의의 251
2. 지역경찰의 성과 평가 253
3. 마일리지프로그램 도입 검토 261
제5절 인력 배치 및 관리 분석 결과 265
1. 인력의 절대적 부족 및 배치 불합리 265
2. 순찰인력의 근무환경 취약 268
3. 처우개선 대책의 역기능 문제 269
4. 지역경찰에 대한 교육 미흡 270
5. 성과평가의 합리화에 대한 기대 271
6. 마일리지프로그램 도입 검토 271

제5장 지역경찰의 운영에 대한 경험적 평가(조병인・이윤) 273
제1절 지역경찰활동의 철학과 이념 275
1. 지역경찰활동의 기반구조 275
2. 지역경찰의 정서와 관념 282
3. 파트너십 및 협력치안 현황 291
제2절 지역경찰의 운영과 활동 298
1. 지역경찰의 근무상황 298
2. 지역경찰의 인력구조 302
3. 동료경찰관 및 관리자 신뢰 307
4. 지역경찰의 근무에서 순찰시간의 비중 310
제3절 지역경찰인력 관리 316
1. 지역경찰 대우 316
2. 지역경찰 배치조건 320
제4절 지역경찰활동의 효과평가와 만족도 325
1. 지역사회 경찰활동 수행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325
2. 지역사회 경찰활동 수행정도의 급지별, 근무관서별 차이 326
3. 지역사회 경찰활동에 대한 이해도와 지역사회경찰활동에 대한 교육 327
4. 협력치안 수행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327
5. 관할의 치안상태 심각성에 대한 인식 차이 328
6. 지역사회 경찰활동 수행과 도보순찰의 범죄예방효과에 대한 인식 329
7. 자신의 복무태도에 대한 평가와 동료들의 복무태도에 대한 평가의 차이 329
제5절 쟁점 요약과 종합적 논의 330
1. 지역경찰의 활동기반 330
2. 지역경찰의 정서와 관념 331
3. 파트너십 및 협력치안 현황에 대한 인식 332
4. 지역경찰의 근무상황에 대한 인식 333
5. 지역경찰의 인력구조 334
6. 동료경찰관 및 관리자에 대한 신뢰 여부 335
7. 지역경찰의 근무에서 순찰시간의 비중 336
8. 지역경찰 인사관리 337
9. 지역경찰 배치조건에 대한 인식 337
10. 지역경찰활동의 효과평가와 만족도 338

제6장 지역경찰 치안활동 강화방안(조병인・이윤) 341
제1절 연구결과의 요지 및 시사점 343
1. 지역경찰의 조직 및 운영 실태 343
2. 지역경찰관서 인력 배치 및 관리 347
3. 지역경찰 운영에 대한 경험적 평가 349
4. 지역경찰의 정서와 관념 350
5. 파트너십 및 협력치안 현황 351
6. 지역경찰의 근무상황 352
7. 지역경찰의 인력구조 353
8. 동료경찰관 및 관리자에 대한 신뢰 354
9. 지역경찰의 근무에서 순찰시간의 비중 354
10. 지역경찰 인사관리 355
11. 지역경찰 배치조건 355
12. 지역경찰활동의 효과평가와 만족도 356
제2절 지역경찰의 인프라 보완 357
1. 지역경찰관서 조직 개편 357
2. 지역경찰관서 인력 충원율 100% 유지 359
3. 우수인력 우선 배치 360
4. 여자경찰관에 대한 정책적 고려 361
5. 지역경찰관서 공간 확장 363
제3절 근무환경 및 근무체계 개선 364
1. 근무환경 개선 364
2. 대체휴무 제도를 위한 시스템 마련 365
3. 교대근무체제 개선 366
4. 지구대장의 경찰서 상황실장 지정 367
5. 복리후생 개선 및 사기 진작 369
제4절 지역경찰에 대한 교육 개선 373
1. 조사결과 및 교육방향 373
2. 지역경찰 활동에 대한 명확한 역할 정립 374
3. 지역경찰에 대한 가치 부여 375
4. 지역경찰에 대한 폭넓은 교육기회 제공 375
5. 경찰교육원, 지방경찰학교, 경찰서의 역할 정립 375
제5절 112신고대응 시스템 개선 376
1. 개설 376
2. 효율성 제고를 위한 개선방안 377
3. 효과성 확보를 위한 개선방안 382
4. 접근성 향상을 위한 개선방안 385
5.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한 개선방안 386
제6절 범죄 및 위험 예방 위주의 관서운영 389
1. 필요성과 의의 389
2. 경찰치안활동의 과학화 390
3. 지역경찰의 파트너십 확대 391
4. 지역특성에 적합한 범죄예방활동 392
5. 예방활동 이외의 업무부담 해소 394
6. 불심검문 권한 확대를 위한 경찰관직무집행법 개정 394
7. 협력치안 인프라 개선 396
제7절 주취자 보호 및 처리에 관한 법률 제정 397
1. 주폭척결 노력 확산 397
2. 인식의 전환 398
3. 보호조치의 개선 399
4. 주취소란자의 보호 및 제재 수단 강구 399
5. 경찰장구사용 확대 및 장구 보완 400
6. 주취자 보호 및 제지를 위한 입법 추진 401
제8절 마일리지프로그램 도입 검토 402
1. 마일리지프로그램의 적용 가능성 402
2. 마일리지프로그램의 구체적 적용 403

참고문헌 411

Abstract 433

부록
부록 1. 자유응답 내역 453
부록 2. 설문지 A, B, C형 470

첨부파일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