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메뉴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뇌과학의 발전과 형법적 패러다임 전환에 관한 연구 (Ⅰ)- 뇌과학과 형법의 접점에 관한 예비적 고찰 -

  • 작성일2013.01.29
  • 조회수1,192

뇌과학의 발전과 형법적 패러다임 전환에 관한 연구 (Ⅰ)- 뇌과학과 형법의 접점에 관한 예비적 고찰 -

좌우로 스크롤 하시면 표의 전체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

연구책임자, 소속기관,내부연구참여자,외부참여연구자,발행기관,공개여부,출판일,등록일,페이지,분류기호,언어,판매여부,판매가격,보고서유형,ISBN,표준분류,연구유형,자료유형
연구책임자 탁희성 소속기관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내부연구참여자 탁희성 외 3인 외부참여연구자
발행기관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공개여부 공개
출판일 2012-12 등록일 2013.01.29
페이지 0 분류기호 12-B-09
언어 한국어 판매여부 판매
판매가격 7000 보고서유형
ISBN 표준분류
연구유형 자료유형
국문요약 21

제1부 뇌과학 연구의 동향(탁희성) 47

제1장 서론 49
제1절 연구목적 51
제2절 연구 방법 54

제2장 뇌과학 연구와 기술의 현황 57
제1절 뇌에 관한 연구의 시대적 발전과 관점의 변화 59
1. 고대와 중세시대의 뇌에 대한 관점 59
2. 근세시대의 뇌에 대한 관점 61
3. 근세 이후의 뇌에 대한 관점과 뇌과학의 형성 65
제2절 뇌과학 기술의 발달 현황 66
1. 뇌과학 기술의 발달과정 66
2. 뇌영상 기술의 유형 69
가. 뇌전도 (EEG:electroencephalogram) 69
나. 자기뇌기록(MEG:Magneto Encephalo Graphy) 71
다. 단일광자방출 컴퓨터 단층 촬영술(SPECT: Single Photon Emission Computed Tomography) 73
라. 양전자방사단층촬영술(PET: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75
마. 자기공명영상법(MRI: Magnetic Resonance Imaging) 76
바. 기능적 자기공명영상(fMRI: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e,) 78
사. 근적외전 분광법(NIRS: Near Infrared Spectroscopy) 80
아. 기타 뇌영상 기술 80
자. 주요 뇌영상 기술의 특징과 장단점 81
3. 뇌영상 기술의 의의와 한계 82
가. 뇌영상 기술의 의의와 중요성 82
나. 뇌영상 기술의 한계 84
제3절 뇌과학 연구의 중요성 및 주요 연구분야 90
1. 뇌과학 연구의 중요성 90
가. 의학적인 측면 91
나. 경제적인 측면 93
다. 사회문화적인 측면 96
라. 법적인 측면 97
2. 뇌과학 연구의 최신 동향 102
가. 뇌인지과학 102
나. 뇌의학 111
다. 뇌공학 114
라. 신경윤리학 116


제2부 인지 및 의사결정 관련 뇌과학 실험연구의 가능성과 한계(정재승) 121

제1장 인지 및 의사결정 관련 뇌과학 실험연구의 등장 배경 123
제1절 머리말 125
제2절 자유의지와 도덕적 판단의 전제들 128

제2장 행동조절 관련 뇌신경과학 실험연구 133
제1절 자발적 행동 의지와 뇌의 활동 135
1. 패트릭 해가드(Patrick Haggard) 리뷰 논문 136
2. 벤자민 리벳(Benjamin Libet) 자유의지 논문 140
가. 연구 배경 및 목표 140
나. 실험 디자인 및 데이터 분석 방법 140
다. 연구 결과 141
라. 연구결과의 의미 142
3. 패트릭 해가드와 마틴 에이머(Patrick Haggard & Martin Eimer) 143
가. 연구 배경 143
나. 연구 목표 145
다. 실험 방법 145
라. 데이터 분석 방법 146
마. 실험결과 146
바. 연구 결과의 의미 148
4. 해가드와 리벳(Patrick Haggard & Benjamin Libet) 논문 149
가. 연구 배경 및 목표 149
나. 연구 결과 150
다. 연구 결과의 의미 152
5. 길버트 고메즈(Gilberto Gomes) 논평 논문 153
가. 개요 153
나. 클라인(Klein, 2002)의 결과 153
다. 포켓(Pockett, 2002)의 결과 154
라. 트레베나와 밀러(Trevena and Miller, 2002)의 결과 155
6. 리벳(Benjamin Libet) 논문 156
가. 리벳의 연구의 요약 157
나. 트레비나와 밀러(Trevena & Miller) 논문 159
다. 포켓(Susan Pockett) 논문 160
라. 포켓의 다른 해석들 161
마. 고메즈(Gilberto Gomes)의 반증 162
7. 리벳 논문 164
가. 연구 배경 및 목적 164
나. 연구 결과 164
8. 해가드 외 연구원들(Patrick Haggard & Sam Clark & Jeri Kalogeras) 논문 168
가. 연구 배경 168
나. 실험 목적 169
다. 실험 방법 169
라. 연구 결과 171
마. 연구 결과의 의미 173
9. 해가드와 클락(Patrick Haggard & Sam Clark) 논문 173
가. 연구배경 173
나. 연구 목표 174
다. 실험 디자인 174
라. 데이터 분석 방법 176
마. 연구 결과 177
바. 연구 결과의 의미 177
10. 앤더슨과 추이(Richard A. Andersen & He Cui) 리뷰 논문 178
가. 연구 배경 178
나. 연구 목표 178
다. 연구 결과 178
라. 연구 결과의 의미 181
제2절 이성과 감성의 구분에 관한 연구 182
1. 앤더슨 외 연구원들(Antoine Bechara & Antonio R. Damasio & Hanna Damasio & Steven W. Anderson) 183
가. 연구 배경 183
나. 실험 목적 184
다. 실험 디자인 184
라. 연구 결과 185
마. 연구 결과의 의미 186
2. 다마지오 외 연구원들(Antoine Bechara & Hanna Damasio & Daniel Tranel & Antonio R. Damasio) 186
가. 연구 배경 187
나. 연구 목표 187
다. 실험 디자인 187
라. 데이터 분석 방법 188
마. 연구 결과 188
바. 연구 결과의 의미 189
3. 벡춰라(Antoine Bechara) 190
가. 연구 배경 190
나. 연구 목표 190
다. 실험 디자인 및 데이터 분석 방법 191
라. 연구 결과 192
마. 연구 결과의 의미 193
4. 다마지오 외 연구원들(A. Bechara & H. Damasio & D. Tranel & A.R. Damasio) 193
가. 연구 배경 193
나. 연구 목표 195
다. 연구 결과 및 연구 결과의 의미 195
5. 다마지오 외 연구원들(Michael Koenigs, Liane Young, Ralph Adolphs, Daniel Tranel, Fiery Cushman, Marc Hauser & Antonio Damasio) 196
가. 연구 배경 196
나. 연구 목표 197
다. 실험 디자인 197
라. 데이터 분석 방법 198
마. 연구 결과 199
바. 연구 결과의 의미 200
6. 리버존 외 연구원들(S. Shaun Ho. & Richard D. Gonzalez & James L. Abelson & Israel Liberzon) 201
가. 연구 배경 201
나. 연구 목표 202
다. 실험 디자인 202
라. 데이터 분석 방법 205
마. 연구 결과 205
바. 연구 결과의 의미 206
7. 도메스 외 연구원들(Lars Schulze, Alexander Lischke, Jonas Greif, Sabine C. Herpertz, Markus Heinrichs, Gregor Domes) 207
가. 연구 배경 207
나. 연구 목표 207
다. 실험 디자인 207
라. 데이터 분석 방법 209
마. 연구 결과 209
바. 연구 결과의 의미 210
8. 매누엘 로드리게스 외 연구원들(Jose A. Obeso, MD & Maria Cruz Rodr Lguez-Oroz, MD & Beatriz enitez-Temino, PhD & Franscisco J. Blesa, PhD & Jorge Guridi, MD & ConcepcióMarin, MD, PhD & and Manuel Rodriguez, MD) 211
가. 연구 목표 및 배경 211
나. 연구 결과 211
다. 연구 결과의 의미 213
제3절 행위의 합리적 선택과 인과적 작용 214
1. 리졸라티와 외 연구원들(L. Fadiga, L. Fogassi, G. Pavesi, and G. Rizzolatti) 215
가. 연구 배경 215
나. 연구 목표 215
다. 실험 디자인 216
라. 연구 결과 216
마. 연구 결과의 의미 218
2. 레오나르도 포가시 외 연구원들(Giacomo Rizzolatti, Luciano Fadiga, Vittorio Gallese, Leonardo Fogassi) 218
가. 연구 배경 219
나. 연구 목표 220
다. 실험 디자인 220
라. 연구 결과 222
마. 연구 의미 222
3. 기안 루이지 렌지 외 연구원들(Laurie Carr & Marco Iacoboni & Marie- Charlotte Dubeau & John C. Mazziotta & Gian Luigi Lenzi) 223
가. 연구 배경 223
나. 연구 목표 224
다. 실험 디자인 224
바. 연구결과의 의미 227
4. 코헨 외 연구원들(Joshua D. Greene & R. Brian Sommerville & Legigh E. Nystrom & John M. Darley & Jonathan D. Cohen) 227
가. 연구 배경 228
나. 연구 목표 228
다. 실험 디자인 229
라. 데이터 분석 방법 229
마. 연구 결과 229
바. 연구 결과의 의미 231
5. 오체스너 외 연구원들(Jennifer A. Bartz & Jamil Zaki & Niall Bolger & Kevin N. Ochsner) 232
가. 인간에 대한 옥시토신 연구의 상승 232
나. 옥시토신이 사회 인지와 전사회성에 주는 영향 234
다. 심리 과정의 단서로 해석하는 문맥적 접근 235
라. 질병 치료제로써의 옥시토신이 가지는 가능성 236
6. 나단 드웰 외 연구원들(Roy F. Baumeister, E.J. Masicampo and C. Nathan DeWall) 237
가. 연구 배경 237
나. 연구 목적 237
다. 실험 디자인 및 결과 238
라. 연구 결과의 의미 239
7. 펠로우와 파라(Lesley K. Fellows & Martha J. Farah) 239
가. 연구 배경 239
나. 연구 목표 240
다. 실험 디자인 241
라. 데이터 분석 방법 242
마. 연구 결과 243
바. 연구 의미 243
8. 로스키스(Adina Roskies) 244
가. 연구 배경 244
나. 연구 목적 244
다. 연구 결과 244
라. 연구 결과의 의미 246
9. 토르타와 카우다(D.M. Torta & F. Cauda) 246
가. 연구배경 및 목표 246
나. 데이터 분석 방법 247
다. 연구 결과 248
라. 연구 결과의 의미 250
10. 벤자민 스트라우베 외 연구원들(Johannes Blos, Anjan Chatterjee, Tilo Kircher, Benjamin Straube) 251
가. 연구 배경 251
나. 연구 목표 251
다. 실험 디자인 251
라. 데이터 분석 방법 253
마. 연구 결과 254
바. 연구 결과의 의미 255
11. 베이네와 찰머스(Tim Bayne and David J. Chalmers) 255
가. 배경 256
나. 통일의 다양성 256
다. 접근 통일(access unity)과 현상 통일(phenomenal unity) 257
라. 언제 접근 통일이 무너지는가? 258
마. 현상 통일이 무너질 수 있는가? 259
바. 통일 논제(unity thesis)의 응용 259
사. 상위차원 사고 (higher-order thought) 이론 259
아. 표상주의(representationalism) 260
자. 통일 논제에 대한 해명 261

제3장 의사결정 및 행동조절 관련 뇌신경과학 연구의 의미 263
제1절 인과적 행위와 책임 266
제2절 인과론과 예측가능성 268

제4장 의사결정 및 행동조절 관련 뇌신경과학 연구에 대한 전망 271
제1절 신경계 통합은 어떻게 이루어지나? 274
제2절 뇌의 차원과 사회적 차원 279


제3부 뇌과학과 법에 관한 주요 외국의 연구 및 판례 경향(탁희성·Thomas Hillenkamp) 285

제1장 미국에 있어서 뇌과학과 형법 287
제1절 뇌과학과 법에 관한 연구 동향 289
1. 뇌과학 연구 및 법적 활용 현황 289
2. 뇌과학과 법의 접점 292
가. 헌법 292
나. 형법 296
다. 불법행위법 297
라. 보건법 298
마. 고용 관련 법 299
제2절미국 형사사법시스템에 있어서 뇌과학의 적용 301
1. 형사절차에 있어서 뇌과학의 활용 301
가. 증거법상의 문제 302
나. 책임의 문제 304
다. 양형의 문제 305
2. 형사법적인 맥락에서 뇌과학이 수반하는 한계 308
가. 개별화된 추론의 문제 308
나. 시점의 한계 309
다. 인과관계의 입증 311
라. 법정에서 뇌영상의 잠재적 편향성 312
제3절 형사책임과 관련한 뇌과학적 증거를 수반한 판례 314
1. 사형과 관련한 판례 314
가. Roper v. Simmons 314
나. Graham v. Florida 316
다. Akins v. Virginia 317
2. 범죄의도 형성과 관련한 판례 320
가. Peter Braunstein 320
나. Sexton v. State 322
다. People v. Weinstein 324

제2장 영국에 있어서 뇌과학과 형법 327
제1절 뇌과학과 법에 관한 연구 동향 329
제2절 법원에 있어서 뇌과학적 증거의 활용 332
1. 뇌과학적 증거 활용의 기본원칙 332
2. 뇌과학 증거에 대한 영국법원의 태도 334
가. 고의입증에 관한 판례 335
나. 책임감경과 관련한 판례 337
다. 증인의 신뢰성에 관한 판례 340
라. 변론능력과 관련한 판례 340

제3장 독일에 있어서 뇌과학과 형법 343
제1절 뇌과학과 형법의 연구 동향 345
1. 형법에 있어서 뇌과학 논쟁의 시작 345
2. 뇌과학에 대한 새로운 논의와 형법적 통찰 348
제2절 뇌과학이 가져온 독일 법분야의 변혁 360
1. 형법에서의 변화 360
가. 책임 이외의 도그마틱 제도에 대한 효과 360
나. 개인적 비난가능성으로서 책임의 포기 363
다. 보안처분법의 대안 367
2. 형법 이외의 법 분야에서의 변화 373
제3절 뇌연구의 명제와 요구에 대한 형법적 수용 376
1. 생각해 볼 수 있는 대응들 376
2. 형법 내부적 전략 377
가. 형법의 신경과학적 변화 377
나. 자유에 관한 질문에 판단을 내리지 않는 책임 380
다. 전통적인 책임이론 386
라. 뇌연구자들로 부터의 공격에 대한 방어 390
제4절 형사절차와 뇌과학 400
1. 의사자유와 형사소송법 400
2. 뇌영상촬영과 형사소송 401
가. 판결에 있어서 중요요소인 가벌성·양형·형벌효과에 관한 질문에 대한 판단의 의미 402
나. 뇌영상촬영과 신뢰성 평가 405


제4부 뇌과학의 발전과 형법적 패러다임(박은정·탁희성) 409

제1장 뇌과학과 자유의지에 관한 법철학적 쟁점 411
제1절 문제의 출발 413
제2절 자유개념의 다양성 417
1. 개념정의의 어려움 417
2. 자유는 정도의 문제 421
제3절 자유의지의 철학적 논의 지형 422
1. 자유의지 대 결정론 422
2. 강한 결정론 - “양립은 불가능하다” 424
3. 결정론과 기계론 427
4. 자유옹호론 – “양립은 불가능하다” 429
5. 칸트의 자율개념 431
6. 소결 - 양립할 수 있는 길 433
제4절 자유의지에 관한 뇌과학적 접근의 문제점 437
1. 리벳 실험의 도전 437
2. 자유의지에 관한 뇌과학적 접근방법 438
가. 결정론적 접근 438
나. 해석적 접근 440
다. 통합적 접근 442
3. 칸트에 대한 재고찰 – 칸트 다시보기 445
제5절 규범적 자유주의 447
1. 미시세계와 생활세계 447
2. 자연주의적 규범성 448
제6절 법철학에 있어서 자유의지와 책임 451
1. 자유의지와 책임능력 그리고 통제 451
2. 유책자를 가려내는 어려움 453

제2장 뇌과학의 도전에 대한 형법적 대응 457
제1절 뇌과학의 발전과 형법에의 도전 459
1. 뇌과학 발전이 가져온 형법적 딜레마 459
2. 자유의지에 도전한 뇌과학 실험연구에 대한 비판적 재고 461
가. 의도 내지 행위계획에 대한 고려의 결여 461
나. 수렴적 조작과 내성보고의 문제 463
다. 가정의 오류 464
제2절 뇌과학과 형법적 책임 464
1. 형법적 맥락에서 뇌과학에 대한 회의 464
2. 형사책임에 대한 뇌과학의 기여 466
3. 뇌과학과 형사책임간의 관계가 갖는 함의들 467
가. 뇌의 비정상성과 책임 467
나. 뇌의 미성숙과 책임 470

제3장 뇌과학의 요구에 대한 형사절차적 대응 473
제1절 재판단계에서의 뇌과학 475
1. 입증의 문제 475
가. 입증의 도구로서 뇌과학 475
나. 법률적 증거로서의 위험성 478
다. 기준의 확립 480
2. 양형의 문제 482
제2절 처우단계에서의 뇌과학의 수용 484
1. 위험성 평가 484
2. 처우의 선택 485

참고문헌 487

Abstract 513

첨부파일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