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메뉴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범죄유발 지역·공간에 대한 위험성 평가도구 개발·적용 및 정책대안에 관한 연구

  • 작성일2013.01.29
  • 조회수2,283

범죄유발 지역·공간에 대한 위험성 평가도구 개발·적용 및 정책대안에 관한 연구

좌우로 스크롤 하시면 표의 전체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

연구책임자, 소속기관,내부연구참여자,외부참여연구자,발행기관,공개여부,출판일,등록일,페이지,분류기호,언어,판매여부,판매가격,보고서유형,ISBN,표준분류,연구유형,자료유형
연구책임자 박경래 소속기관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내부연구참여자 박경래 외 6인 외부참여연구자
발행기관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공개여부 공개
출판일 2012-12 등록일 2013.01.29
페이지 0 분류기호 12-CB-06
언어 한국어 판매여부 판매
판매가격 15000 보고서유형
ISBN 표준분류
연구유형 자료유형
국문요약 27

제1장 서론(박경래) 37
제1절 연구의 목적 39
제2절 연구의 범위와 방범 44

제2장 이론적 논의(최인섭·박경래·박현호) 49
제1절 환경범죄학 51
1. 환경범죄학의 대두 51
2. 시카고학파의 대두 52
3. 시카고학파의 유산 61
4. 근래의 환경범죄학 63
제2절 범죄와 위험 69
1. 범죄자와 위험 69
2. 환경과 위험 73
3. 경찰활동과 위험 76
제3절 위험평가와 위험관리 80
1. 개요 80
2. 위험 및 위험관리의 이론적 배경 82
3. 범죄위험평가 103

제3장 공식통계를 활용한 우리나라의 범죄발생 현황 및 실태 분석(박경래·박성훈) 115
제1절 지역별 범죄발생현황 117
1. 전국 시도별 총범죄 발생현황 117
2. 전국 시도별 6대 강력범죄 발생현황 120
제2절 구체적인 범죄발생 실태 124
1. 범죄발생장소 124
2. 범죄발생지역 132
3. 범죄발생시간 137
4. 침입범죄의 침입방법 142
제3절 거시적 맥락에서 범죄발생의 원인 144
1.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범죄발생 간의 관계 144
2. 지역규모에 따른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범죄발생 간의 관계 150
제4절 소결 163

제4장 범죄위험성 평가도구의 개발(박현호·박경래·박성훈·강용길·최인섭) 165
제1절 범죄위험성 평가도구 모델링과 지표선정 167
1. 범죄위험평가 모델링 167
2. 범죄위험평가 체크리스트와 평가지표 173
제2절 지표별 이론적·경험적 근거 181
1. 범죄특성 181
2. 인구사회학적특성 185
3. 물리/상황적특성 195
4. 범죄의 사회적 비용 203
5. 심리적 결과로서 범죄에 대한 두려움 206

제3절 지표별 평가기준과 측정방법 208
1. 지표별 평가기준 208
2. 지표별 측정 방법 214
3. 평가지표 별 AHP 가중치 분석 224

제5장 평가도구 적용결과와 사례연구(박성훈·강용길·박경래) 237
제1절 조사설계와 자료수집 239
1. 표본추출 및 표본의 수 239
2. 자료수집방법 243
제2절 지역별 범죄위험성 측정결과 250
1. 범죄위험성 종합지수결과 250
2. 범죄위험성 발생가능성(likelihood) 지수결과 253
3. 범죄위험성 결과/영향(consequences) 지수결과 264
4. 위험 매트릭스를 활용한 위험성 평가 273
제3절 지역별 사례연구 280
1. 은평구 사례분석 281
2. 성남시 사례분석 311
3. 구리시 사례분석 338
4. 강남구 사례분석 367
5. 소결 391

제6장 해외사례 소개: 유럽 4개국 비교연구(PluS)를 중심으로(박성훈) 395
제1절 연구의 개요 397
1. 연구대상 지역별 특성 399
2. 연구방법 405
제2절 연구의 결과 407
1. 독일 407
2. 영국 418
3. 오스트리아 430
4. 폴란드 438
제3절 연구결과의 요약 및 결론 446
1. 지역의 안전감 및 범죄피해의 수준 446
2. 지역의 주요문제에 대한 인식과 해결방안 449
제4절 연구의 함의 452

제7장 정책대안(박경래·최인섭·박성훈·강용길·박현호) 455
제1절 설문조사를 통해 나타난 범죄예방전략 457
1. 지역의 범죄유발환경에 대한 인식 457
2. 적절한 범죄예방조치에 대한 의견 459
3. 범죄예방활동 참여에 대한 지역주민의 의견 464
제2절 범죄위험의 진단 및 평가 470
1. 범죄위험평가 사업의 중요성 인식 470
2. 범죄위험평가 사업의 개발 및 정착 추진 472
3. 범죄위험평가의 전문화 473
제3절 범죄위험의 관리와 통제 478
1. 도시계획적 관점 478
2. 위험관리적 관점 485
3. 주민참여적 관점 488
제4절 범죄위험 관리의 제도화 491
1. 법적인 측면 491
2. 행정적 측면 498
3. 경제적 측면 500

제8장 결론 : 주요 내용의 요약과 향후과제(박경래·박성훈) 503
참고문헌 521

Abstract 541

부록 1 설문지(시민들의 지역사회에 대한 인식조사) 551
부록 2 현장관찰조사 체크리스트(아파트용) 563
부록 3 현장관찰조사 체크리스트(일반주택용) 573

첨부파일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