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메뉴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범죄유발 지역·공간에 대한 위험성 평가도구 개발·적용 및 정책대 안에 관한 연구(II)

  • 작성일2014.02.05
  • 조회수2,283

범죄유발 지역·공간에 대한 위험성 평가도구 개발·적용 및 정책대 안에 관한 연구(II)

좌우로 스크롤 하시면 표의 전체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

연구책임자, 소속기관,내부연구참여자,외부참여연구자,발행기관,공개여부,출판일,등록일,페이지,분류기호,언어,판매여부,판매가격,보고서유형,ISBN,표준분류,연구유형,자료유형
연구책임자 박준휘 소속기관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내부연구참여자 박준휘 외 7인 외부참여연구자
발행기관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공개여부 공개
출판일 2014-02 등록일 2014.02.05
페이지 0 분류기호 13-CB-05
언어 한국어 판매여부 판매
판매가격 15000 보고서유형
ISBN 표준분류
연구유형 자료유형
국문요약 27

제1장 서론(박준휘) 39
제1절 연구의 목적 41
제2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48

제2장 환경범죄학적 논의와 상업지역의 범죄(최인섭・김도우) 53
제1절 환경범죄학 55
1. 환경범죄학의 전개 55
2. 환경범죄학의 분석적 차원 57
제2절 상업지역과 범죄위험성의 관계 61
1. 공식통계 61
2. 서울시 자료 62
3. 관련 선행연구의 검토 64
제3절 BID와 범죄 67
1. BID의 개요와 의의 68
2. BID의 역사적 배경 70
3. BID의 성격과 쟁점 72
4. BID의 안전 제고 및 범죄 예방 활동 77
5. BID지역과 범죄 발생과의 관계 84

제3장 공식통계를 활용한 우리나라 범죄발생 현황(김도우・손원진) 87
제1절 시도별 범죄발생현황 89
1. 전국 시도별 총범죄 발생현황 89
2. 전국 시도별 5대 강력범죄 발생현황 93
제2절 공간적 특성에 따른 범죄발생 현황 96
1. 범죄발생장소 97
2. 지역규모에 따른 범죄발생 107
제3절 침입범죄의 수법과 방법 111
1. 강도의 침입수법 112
2. 절도의 침입수법 114
3. 강・절도의 침입구 및 침입방법 115

제4장 상업지역 위험성 평가도구의 개발(박준휘・신영철) 119
제1절 상업지역 위험성 평가의 의의 121
1. 상업지역의 의의 121
2. 범죄위험성 평가의 의의 126
제2절 범죄위험성 평가 선행연구와 개발과정 128
1. 최근 선행연구 및 모델링 동향 128
2. 사례연구: 미국의 RTM과 한국의 Geo-Pros 137
3. 범죄위험성 평가도구의 개발과정과 특징 144
제3절 평가항목의 구성과 가중치 등의 설정 150
1. 평가항목의 구성과 쟁점 150
2. 평가도구 내 개별 평가항목의 의의 152
3. CVM을 통한 범죄비용의 추계 155
4. 측정 및 평가기준과 가중치 등의 설정 159
제4절 소결 169

제5장 상업지역의 범죄위험성 평가(김도우・박현호) 171
제1절 조사설계 및 자료수집방법 173
1. 조상대상의 선정 173
2. 지표별 평가기준 179
3. 자료수집방법 185
제2절 거시적 수준의 범죄위험성 측정결과 190
1. 총범죄 191
2. 5대범죄 194
3. 강・절도 196
4. 성폭력 199
5. 폭력범죄 201
제3절 미시적 수준의 범죄위험성 평가 및 적용 204
1. 범죄위험성 종합지수결과 204
2. 범죄위험성 발생가능성(likelihood) 지수결과 221
3. 범죄위험성 결과/영향 지수결과 236
4. 위험 매트릭스를 활용한 범죄위험성 평가 243
제4절 소결 269
1. 분석결과의 요약 및 함의 269
2. 범죄위험성과 범죄발생률 비교 270

제6장 GIS를 활용한 6개구 범죄위험성 분석(이경훈) 279
제1절 서론 281
제2절 GIS를 활용한 범죄위험성 맵핑의 개념 및 방법 282
1. GIS의 개념 282
2. 공간분석(Spatial Analysis) 284
3. 범죄연구에서 GIS의 활용 286
4. 범죄 및 GIS 관련 선행연구 고찰 288
제3절 평가지표의 지도화 293
1. 평가지표 도출 293
2. 평가지표의 지도화 296
제4절 범죄유형별 발생률과 위험성 평가지표 간의 관계 분석 300
1. 평가지표 분석 300
2. 평가지표 수정을 통한 분석 309
제5절 소결 323

제7장 현장관찰을 통한 6개구 사례분석(연구진 전원) 325
제1절 사례연구의 의의 및 방법론 327
1. 사례연구의 의의 327
2. 사례연구 방법론 329
제2절 관악구 및 강남구 사례 분석 334
1. 일반현황 334
2. 사례조사 결과 요약 338
3. 범죄위험 유발 환경의 특성 344
4. 요약 및 논의 368
제3절 동대문구 및 중랑구 사례 분석 370
1. 일반현황 370
2. 사례조사 결과 요약 376
3. 범죄위험 유발 환경의 특성 383
제4절 영등포구 및 중구 사례 분석 414
1. 일반현황 414
2. 사례조사 결과 요약 420
3. 범죄위험 유발 환경의 특성 425
4. 요약 및 논의 454
제5절 소결 455

제8장 범죄위험성 관리를 위한 정책대안(김재운・박준휘・최인섭・박현호・손원진) 457
제1절 설문조사를 통해 나타난 범죄예방전략 459
1. 지역의 범죄유발환경에 대한 인식 459
2. 적절한 범죄예방조치에 대한 의견 461
3. 범죄예방활동 참여에 대한 지역주민의 의견 464
제2절 도시정책적 관점에서의 실행전략 467
1. 도시계획(Urban Planning) 467
2. 도시설계(Urban Design) 473
3. 도시관리(Urban Management) 479
제3절 상업지역의 공간별 범죄예방전략 483
1. 공용공간별 범죄예방전략 484
2. 전용공간별 범죄예방전략 493
제4절 제도적 개선방안 506
1. 범죄예방 디자인 사업 506
2. 상업지구활성화제도(BID) 도입 508
3. 범죄지도(Crime Map)를 활용한 범죄예방 시스템 509
4. CCTV의 체계적 관리 511
5. 상가 자위방범 체계 구축 514

제9장 결론(박준휘) 517
제1절 연구의 주요 내용과 함의 519
제2절 연구의 평가와 향후 과제 526

참고문헌 529

Abstract 539

부록 549

첨부파일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