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메뉴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법과학을 적용한 형사사법의 선진화 방안(IV)

  • 작성일2014.02.06
  • 조회수1,071

법과학을 적용한 형사사법의 선진화 방안(IV)

좌우로 스크롤 하시면 표의 전체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

연구책임자, 소속기관,내부연구참여자,외부참여연구자,발행기관,공개여부,출판일,등록일,페이지,분류기호,언어,판매여부,판매가격,보고서유형,ISBN,표준분류,연구유형,자료유형
연구책임자 윤지영 소속기관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내부연구참여자 윤지영 외 4인 외부참여연구자
발행기관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공개여부 공개
출판일 2014-02 등록일 2014.02.06
페이지 0 분류기호 13-B-10
언어 한국어 판매여부 판매
판매가격 15000 보고서유형
ISBN 표준분류
연구유형 자료유형
국문요약 17

제1부 서론 23

제1장 연구의 목적 25
제1절 문제의 제기 27
제2절 연구의 필요성 28

제2장 연구의 범위와 방법 29
제1절 연구의 범위 31
제2절 연구의 방법 33

제2부 형사사법의 선진화와 ‘자유와 안전’ - 사회이론적 및
규범이론적 관점 35

제1장 서언 37
제1절 자유 그리고 안전 - 법치국가이념과 형사사법 39
제2절 국가과제의 변화와 사전배려 42

제2장 정보기술의 발전과 형사사법 49
제1절 정보와 데이터의 구별 51
제2절 멀티미디어의 시대 52
제3절 새로운 정보기술과 감시전략 54
제4절 데이터뱅크의 시대 57
제5절 정보기술과 범죄투쟁 60
제6절 기술의 일상화와 안전 62

제3장 정보기술에서 감시기술로? - 기술발전과 법질서 65
제1절 새로운 감시기술 68
제2절 감시기술과 기본권 71
1. 감시와 정보적 자기결정권 71
2. 법적 형량과정 - 그 필요성과 문제점 72
제3절 해결의 실마리들? 75
1. 구체적 차원과 전체적 차원의 충돌 75
2. 개별적 침해에 관한 형량의 절대적 한계 77
3. 법을 통한 기술조종 77
제4절 투명한 정치적 형량과정의 수단으로서의 기술형성 78

제4장 안전의 사회학 81
제1절 안전화 - 코펜하겐학파의 안전사회학 85
제2절 법질서와 안전의 관계 - 숙주와 기생 88

제5장 헌법학적 논의지평에서의 ‘안전과 자유’ 99
제1절 안전보장국가로서의 법치국가 104
제2절 자유보장국가로서의 법치국가 108
제3절 안전과 자유의 종합? 109
1. 법치국가적 균형 109
2. 침해의 정당화로부터 전면적인 형량으로 111
제4절 경찰법적 안전정책의 변화 114
1. 위험차단 114
2. 범죄예방을 통한 사전영역의 방어 116
3. 법치국가 이념에 대한 도전 118
4. 예방작용과 적절성 121
제5절 안전도그마틱의 위험성 122
1. 자유의 탈개인화 123
2. 자유의 탈관계화 124

제6장 소결 127

제3부 첨단과학 기술의 활용과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형사법적 고찰 131

제1장 서언 133

제2장 개인정보의 개념과 그 구체적 내용 139
제1절 개인정보의 개념 141
제2절 법률상 개인정보의 개념 143
제3절 개인정보의 구체화 144
1. 정보의 임의성 144
2. 살아있는 개인에 관한 정보 144
3. 식별가능성 있는 정보 145

제3장 외국에서의 개인정보 보호에 관한 법제 149
제1절 OECD 지침 151
제2절 유럽연합(EU)의 개인정보에 대한 지침 153
제3절 미국의 개인정보보호 158
제4절 독일의 개인정보보호 162
제5절 일본의 개인정보보호 163

제4장 우리나라에서의 개인정보에 대한 형사법적 보호 일반론 167
제1절 우리나라의 개인정보보호법제의 개관 169
제2절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한 개인정보의 보호 171
1. 개인정보보호법의 주요내용과 최근개정 171
2.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한 개인정보의 형사법적 보호 173
제3절 형법에 의한 개인정보의 보호 181
1. 형법에 의한 비밀침해의 처벌(비밀침해죄) 181
2. 업무상 비밀침해 184
3. 전자적 개인정보의 위작변작행위 185
제4절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 의한
개인정보의 보호 189
1. 개인정보 수집 189
2. 개인정보의 이용 191
3. 개인정보의 누설금지 193
4. 필요조치 미이행자 196
5. 정보통신망에의 무단침입(소위 단순해킹) 197

제5장 첨단과학기술의 활용과 개인정보 보호 201

제6장 소결 207

제4부 위치정보의 형사정책적 활용 211

제1장 위치정보에 관한 일반적 논의 213
제1절 위치정보의 의의 및 측정기술 215
1. 위치정보의 의의 215
2. 위치정보 추적 기술의 유형 219
제2절 위치기반서비스의 의의 및 형사정책적 쟁점 223
1. 위치기반서비스의 의의 223
2. 위치기반서비스와 관련된 형사정책적 쟁점 225

제2장 외국의 입법례 227
제1절 미 국 229
1. 위치정보의 수집 및 활용에 관한 법 규정 229
2. 위치정보와 관련된 주요 사건 235
3. 위치정보 관련 논의 현황 248
제2절 독 일 251
1. 위치정보의 수집 및 활용에 관한 법 규정 251
2. 위치정보와 관련된 주요 사건 255
3. 위치정보관련 논의 현황 258
제3절 일 본 260
1. 위치정보의 수집 및 활용에 관한 법 규정 260
2. 위치정보와 관련된 주요 사건 264
3. 위치정보관련 논의 현황 266

제3장 위치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관한 법적 근거와 활용 현황 271
제1절 위치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관한 법적 근거 273
1. 위치정보의 보호 및 이용 등에 관한 법률 273
2. 통신비밀보호법 289
제2절 위치정보의 수집 및 이용 현황 292
1. 긴급구조를 위한 위치정보 이용 292
2. 범죄수사나 국가안보를 위한 통신사실확인자료 제공 298

제4장 위치정보의 형사정책적 활용을 위한 정비 방안 303
제1절 공공부문에서 위치정보의 형사정책적 활용에 관한 개선방안 306
1. 긴급구조를 위한 위치정보 활용 306
2. 범죄수사 및 국가안전보장을 위한 위치정보 활용 310
제2절 민간부문에서 위치정보의 형사정책적 활용에 관한 개선방안 313
1. 형사정책적 서비스 제공을 위한 위치기반서비스 사업의 활성화 방안 313
2. 프라이버시 보호 강화를 위한 정비 방안 315

제5부 RFID 기술과 형사정책적 활용 319

제1장 RFID의 기술적 이해와 적용분야 321
제1절 RFID의 기술적 이해 323
1. RFID의 기술적 토대 323
2. 유비쿼터스 컴퓨팅(Ubiquitous computing)의 토대로서의 RFID 기술 335
제2절 RFID의 적용분야 337
1. RFID 기술과 활용 337
2. RFID 기술과 감시시스템 338
3. RFID 기술의 적용분야와 사례: 형사정책분야를 중심으로 340

제2장 우리나라의 RFID 기술 관련 법규 현황 347
제1절 RFID 기술의 기회와 도전 349
제2절 RFID 프라이버시보호 가이드라인 350
1. 정부의 “RFID 프라이버시보호 가이드라인” 350
2. 시민단체의 “RFID 가이드라인” 354
제3절 RFID 기술과 관련 법률 357
1. RFID와 개인정보보호 357
2. RFID와 통신비밀 등의 보호 365
3. RFID와 형법상 보호 369
4. RFID와 관련한 형사소송법적 문제 374
제4절 소결 381

제3장 주요 국가의 RFID에 대한 법적, 제도적 대응 383
제1절 서설 385
제2절 미국 386
1. 소비자단체의 관심과 활동 386
2. 각 주들(States)의 규제 입법 노력 389
3. 연방차원의 노력 395
4. 기타 402
5. 소결 403
제3절 EU와 독일 403
1. EU (유럽연합) 403
2. 독일 410
3. 소결 419
제4절 일본 420
1. 전자태그(IC tag)에 관한 프라이버시보호 가이드라인 420
2. 개인정보 보호와 가이드라인 421
3. 소결 422
제5절 OECD 422
1. 2008년의 RFID에 대한 정책 지침 422
2. RFID에 대한 정책 지침의 구체적 내용 424
제6절 소결 426

제4장 RFID 기술에 대한 형사정책적 활용 및 대응방안 427
제1절 형사정책 활용방안 429
1. RFID와 형사정책 429
2. RFID 형사정책적 활용 가능성 432
제2절 법적제도적 대응방안 443
1. RFID 기술과 대응 443
2. 자율규제 보완 방안 446
3. 공적규제 보완방안 : 입법적 보완 451
4. 기술적 보안 방안 456

제6부 CCTV 시스템의 형사정책적 활용 463

제1장 CCTV의 개념과 기능 465
제1절 CCTV의 개념 467
1. CCTV의 정의 467
2. CCTV의 구조 469
3. CCTV의 분류 470
제2절 현재의 CCTV기술 471
1. CCTV와 IP카메라 471
2. CCTV와 음성녹음 및 감지 472
3. CCTV와 자동번호인식(Automatic Number Plate Recognition, 이하, ANPR) 472
4. CCTV와 보행자감시(Intelligent Pedestrian Surveillance, 이하 ‘IPS’) 474
5. CCTV와 안면인식 475
6. CCTV와 영상계측 및 3차원 모델링 477
7. CCTV와 블랙박스 477
8. CCTV와 프라이버시 마스킹(privacy masking) 기술 479
제3절 CCTV의 주요기능 및 효과 479
1. 범죄예방 480
2. 범인검거 482
3. 판결의 증거자료 483
4. 일반인의 안전감 증대 483
5. 기타 484

제2장 CCTV 관련법규와 설치운영분석 현황 487
제1절 CCTV 관련법규 및 가이드라인 489
1. 관련법규 489
2. 가이드라인 491
제2절 공공의 CCTV 설치운영 현황 492
제3절 CCTV영상 분석현황 498

제3장 CCTV 주요국가 관련현황 검토 501
제1절 영국 503
1. 시기별 CCTV 정책 503
2. 현황과 근거법률 508
3. 최근 판례 513
4. CCTV 효과연구 520
5. 평가와 전망 525
제2절 독일 529
1. 비디오감시(Videoüberwachung) 증가의 배경 529
2. 현황과 근거법률 530
3. 최근 판례 542
4. 비디오감시 효과연구 545
5. 평가 546
제3절 일본 548
1. CCTV 설치의 역사 548
2. 현황과 근거법률 549
3. 최근 판례 557
4. 평가 563
제4절 중간 결론 566
1. 공통적인 경향성 566
2. 근본적인 문제들 568
3.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 569

제4장 CCTV 활용의 형사법적 정당성과 유용성 검토 573
제1절 CCTV 활용의 형사정책적 효율성 575
1. CCTV의 효과성 연구 575
2. CCTV 활용의 형사정책적 함의 577
제2절 CCTV 활용을 위한 형사법적 규정 579
1. 형사소송법상 규정과 기존 판례 579
2. 개인정보보호법 제25조 585

제5장 CCTV의 형사정책적 활용을 위한 정비방안 595
제1절 기존법규 개정의 필요성 597
제2절 CCTV 규제법률 개정의 필요성 598
제3절 법률적 판단을 위한 구체적인 내부기준 마련의 필요성 599
제4절 CCTV 규제를 위한 독립적인 감독기구 마련의 필요성 601
제5절 다른 제도적 정비방안 602

제7부 결론 603

참고문헌 611

부록 649

첨부파일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