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메뉴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마약류 확산실태와 21세기 마약류 통제정책의 방향

  • 작성일2001.12.01
  • 조회수1,520

마약류 확산실태와 21세기 마약류 통제정책의 방향

좌우로 스크롤 하시면 표의 전체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

연구책임자, 소속기관,내부연구참여자,외부참여연구자,발행기관,공개여부,출판일,등록일,페이지,분류기호,언어,판매여부,판매가격,보고서유형,ISBN,표준분류,연구유형,자료유형
연구책임자 조은석 소속기관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내부연구참여자 조은석 외 1인 외부참여연구자
발행기관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공개여부 공개
출판일 2001.12.01 등록일 2001.12.01
페이지 0 분류기호 01-27
언어 한국어 판매여부 판매중지
판매가격 0 보고서유형
ISBN 표준분류
연구유형 자료유형
국문요약 21
제1장 서 론 25
제1절 연구목적 25
제2절 연구범위와 방법 26
제2장 마약류에 관한 일반적 고찰 29
제1절 정 의 29
제2절 종류와 특성 31
Ⅰ. 일반적인 분류 31
Ⅱ. 특 성 32
1. 마 약 32
가. 천연마약 33
1) 아편계 33
가) 양귀비(楊貴妃, Opium poppy) 33
나) 아편(Opium) 36
(1) 특 성 36
(2) 약리작용 및 중독증상 37
다) 모르핀(Morphine) 39
(1) 특 성 39
(2) 약리작용 및 중독증상 39
라) 헤로인(Heroin) 40
(1) 특 성 40
(2) 약리작용 및 중독증상 42
마) 기타 아편계 마약 43
(1) 코데인(Codeine) 43
(2) 테바인(Thebaine) 44
(3) 옥시코돈 45
(4) 하이드로모르핀(Hydromorphine) 45
2) 코카계 45
가) 코카인 46
(1) 특 성 46
(2) 약리작용 및 중독증상 47
나) 크랙 49
(1) 특 성 49
(2) 약리작용 및 중독증상 50
나. 합성마약 51
1) 페치딘계 51
2) 메사돈계 52
3) 기 타 53
2. 향정신성의약품 53
가. 각성제 54
1) 암페타민류 54
가)특 성 54
나) 약리작용 및 중독증상 55
2) 기타 각성제 58
나. 환각제 59
1) LSD 59
가) 특 성 59
나) 약리작용 및 중독증상 59
2) 기타 환각제 60
가) PCP 60
나) 메스칼린 61
다) DMT 61
라) DET 62
다. 억제제 62
1) 진정수면제 : 바르비튜레이트 63
2) 신경안정제 65
라. 신종 향정신성의약품 66
1) 엑스터시 (Ecstasy, XTC, MDMA, “도리도리”, 搖頭丸) 66
2) 야바 (Yaba) 66
3) GHB (Gamma-HydroxyButrate, “물뽕”) 67
3. 대 마 67
가. 대 마 68
1) 특 성 68
2) 약리작용 및 중독증상 69
나. 대마 관련 약물 70
1) 대마초(marihuana) 70
2) 대마수지(Hashish) 72
3) 해쉬쉬 오일 72
4. 흡입용환각물질 73
가. 특 성 75
나. 약리작용 및 중독증상 76
제3절 연혁적 고찰 79
Ⅰ. 서 론 79
Ⅱ. 역사 개관 80
1. 아편(opium)의 역사 80
2. 중국의 아편 문화 85
3. 기타 마약류의 기원 88
가. 코카인 88
나. 대 마 89
다. 암페타민류 90
라. LSD 91
4. 현대의 마약류문제 92
가. 1920년대-1960년대 92
나. 1970년대 마리화나의 합법화 논쟁 93
다. 흡연에 대한 새로운 시각 97
Ⅲ. 한국의 마약류의 변천추이 98
1. 해방 이전 : 아편과 헤로인 98
2. 1945년-1950년대 말 : 생아편과 헤로인 100
3. 1960년대 : 아편과 메사돈 102
4. 1970년대 : 대마초 104
5. 1980년대 : 메스암페타민(속칭 “히로뽕”) 108
6. 1990년-1998년 : 코카인과 헤로인․신종마약 111
Ⅳ. 종 합 114
제4절 남용의 원인과 폐해 115
Ⅰ. 남용의 원인 115
1. 생물학적 요소 116
가. 유전적 요소 116
나. 신경학적 요소 116
2. 심리적 요소 117
가. 호기심 117
나. 도피형 118
다. 대리만족형 119
라. 자기애적 성격 119
마. 구강기적 성격 119
바. 종교적 영적 요소 119
3. 사회적 요소 119
가. 가정과 가족 120
나. 동료집단에의 동화 : 유혹 120
Ⅱ. 남용의 폐해 121
1. 개인적 폐해 121
2. 사회적 폐해 122
제3장 마약류의 확산실태와 동향분석 125
제1절 확산실태 125
1. 마약류범죄계수 20의 돌파 125
2. 마약류 사용계층의 다양화 126
3. 신종마약류의 급속한 확산 128
4. 외국인의 마약류범죄 개입 증가 130
5. 마약류공급선의 다변화와 대형화 131
6. 조직폭력배의 마약류범죄 개입 133
7. 의료용 마약류의 남용 및 관리소홀 135
제2절 동향분석 137
1. 마약류범죄의 일반적 현황 137
2. 마약류범죄의 유형별 현황 138
가. 마 약 138
나. 향정신성의약품 140
다. 대 마 142
3. 마약류범죄의 구성분포 144
가. 지역별 구성분포 144
1) 마약사범의 지역별 구성분포 145
2) 향정사범의 지역별 구성분포 146
3) 대마사범의 지역별 구성분포 147
나. 연령별 구성분포 149
1) 마약사범의 연령별 구성분포 149
2) 향정사범의 연령별 구성분포 150
3) 대마사범의 연령별 구성분포 151
다. 성별 구성분포 151
라. 마약류사범의 학력별 구성분포 153
4. 마약류범죄의 사법처리 현황 155
가. 검찰처리현황 155
나. 법원선고결과 157
제4장 마약류 통제정책의 현황 159
제1절 서 설 159
제2절 외국의 정책 및 국제협력 현황 160
Ⅰ. 외국의 경우 160
1. 미 국 160
가. 마약류범죄동향 160
나. 마약류 통제정책과 통제법규 161
1) 통제정책 161
가) 연혁의 개관 161
나) 정책현황 165
2) 통제법규 개관 171
2. 일 본 173
가. 마약류범죄동향 173
나. 마약류통제정책과 법규 174
1) 통제정책 174
가) 연혁의 개관 174
나) 정책현황 176
2) 통제법규 개관 179
3. 중 국 184
가. 마약류범죄동향 184
나. 마약류통제정책 185
4. 서유럽 187
가. 네덜란드 187
나. 영 국 189
다. 독 일 190
5. 동남아 192
가. 태 국 192
나. 필리핀 194
다. 말레이시아 195
라. 홍 콩 197
Ⅱ. 국제협력 199
1. 국제협력의 필요성 199
2. 마약류국제관리기구 200
가. 유엔의 마약류통제기구 200
1) 유엔 마약위원회 200
2) 유엔 마약류통제본부 201
3) 유엔 마약류통제 및 범죄예방기구 201
4) 유엔 교육과학문화기구 202
5) 세계보건기구 202
6) 아시아․태평양 지역 마약법집행기관장회의
(아․태 지역회의) 203
나. 기타 마약류관련 통제기구 203
1) 국제마약통제위원회 204
2) 국제형사경찰기구(INTERPOL) 204
3) 관세협력이사회 204
4) 금융문제특별대책기구 205
5) 화학물질특별대책기구 205
3. 국제마약류통제협약 205
가. 1912년 헤이그협약 206
나. 1961년 마약에 관한 유엔단일협약 206
다. 1971년 향정신성물질에 관한 유엔단일협약 207
라. 1988년 마약 및 향정신성물질의 불법거래방지에 관한 유엔협약 208
마. 1990년 스트라스부르그 협약 208
4. 유엔의 마약류퇴치 프로그램 208
가. 마약남용 통제활동의 포괄적 기본계획 208
나. 마약남용 통제를 위한 유엔 조직 내 활동계획 209
다. 범세계적 활동계획 209
라. 유엔 마약퇴치 10개년 계획 209
마. 기 타 210
제3절 우리나라의 규제법규 및 정책현황 210
Ⅰ. 규제법규 현황 210
1. 연 혁 210
2. 통합법률의 제정 212
3. 현행 마약류규제법규의 주요내용 214
가. 형 법 214
나. 마약류관리에관한법률 217
1) 목 적 218
2) 규제대상 218
가) 마 약 218
나) 향정신성의약품 219
다) 대 마 220
3) 마약류취급자 220
가) 개 념 220
나) 허가와 지정 221
다) 마약류취급자의 의무 223
(1) 일반적인 의무 223
(2) 특별한 의무 224
4) 마약류중독자 225
가) 의료인의 마약류중독자 신고의무규정의 폐지 226
나) 마약류사용의 금지 227
다) 마약류중독자의 치료보호 227
(1) 치료보호기관 228
(2) 대 상 228
(3) 치료보호절차와 치료보호의 연장 230
(4) 퇴원조치와 상담의 권고 230
5) 마약류의 감독과 단속 231
가) 주요 내용 231
나) 마약류감시원과 명예지도원 233
6) 마약류보상금의 지급 233
7) 금지행위와 벌칙 236
가) 일반적 금지행위 236
(1) 절대적 금지행위 236
(2) 상대적 금지행위 237
나) 마약류취급자가 아닌 자의 마약류취급의 금지 237
다) 구체적 행위유형에 따른 고찰 238
(1) 마약류의 제조․조제․성분추출․재배행위 238
(2) 마약류의 수입․수출행위 242
(3) 마약류의 매매․매매의 알선․수수․교부행위 243
(4) 마약류의 소지․소유․보관․관리․운반행위 244
(5) 마약류의 사용․투약(투약목적교부)․흡연 또는 취행위 247
(6) 장소 등 제공행위 249
8) 마약류사용죄의 위헌성여부와 비범죄화의 문제 250
다. 마약류불법거래방지에관한특례법 254
1) 개 요 254
2) 목 적 254
3) 주요내용 255
가) 입국 및 상륙절차 등의 특례 255
나) 영리목적 마약류범죄의 가중처벌 256
다) 불법수익몰수제도의 구체화 256
(1) 서 설 256
(2) 몰수대상의 확대 258
(3) 불법수익 등의 隱匿․假裝 및 收受행위의 처벌 259
(4) 금융기관의 신고의무신설 261
(5) 불법수익의 추정규정신설 261
라) 보전절차의 신설 263
마) 국제공조절차의 제정 265
라. 특정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 265
마. 유해화학물질관리법 266
바. 특정범죄신고자등보호법 267
Ⅱ. 정책현황 269
1. 서 설 269
2. 공급억제정책 274
가. 단속기구 274
1) 검 찰 274
가) 개요 및 연역 274
(1) 1970년 이전 275
(2) 1970년 이후 275
(3) 1989년 이후 278
나) 현 황 281
(1) 과학적 수사체제 구축 281
(가) 최첨단 마약류감정기법의 활용 281
(나) 마약류사범 정보전산화 283
(다) 첨단수사장비 구입 및 활용 284
(2) 국내외적 협조체제 구축 285
(가) 범정부적 종합대책 수립․시행 285
(나) 국제협력체제구축 286
(3) 주민자진신고체제 구축 286
(4) 기 타 287
(가) 마약류사범 단속지침 수립․시행 287
(나) 관련 법제 및 지침 정비 288
(다) 마약류사범 동향분석 및 자료발간 289
2) 경 찰 290
3) 관세청 292
4) 국가정보원 295
5) 보건복지부 : 식품의약품안전청 297
나. 직업교육 및 취업알선 298
3. 수요억제정책 299
가. 예방 및 홍보 299
1) 식품의약품안전청 299
가) 개요 및 연혁 299
(1) 1970년 이전 299
(2) 1970년 이후 301
(3) 1989년 이후 303
나) 주요 정책 303
(1) 홍보․계몽활동의 강화 304
(2) 국제협력증진 305
2) 검 찰 305
3) 사회단체 및 기타 기관 306
가) 한국마약퇴치운동본부 306
나) 마약범죄시민사이버감시단 307
다) 기타 기관 307
나. 단 속 307
다. 치료와 재활 308
제5장 21세기 마약류 통제정책의 방향 313
제1절 문제제기 313
제2절 통제정책의 기본방향 315
Ⅰ. 공급억제정책과 수요억제정책의 균형적 추진 315
Ⅱ. 수요억제정책의 내용전환 필요 316
Ⅲ. 공급억제 정책의 중점 선회 317
Ⅳ. 국제협력강화의 질적 변화 필요 319
제3절 통제정책의 구체적 추진방안 320
Ⅰ. 수사역량의 강화와 수사지원체제구축 320
1. 마약류 수사 및 통제전담기구의 설치 320
2. 수사인력의 보강과 전문화 322
3. 수사장비의 현대화 및 첨단과학화와 수사기법의 개발 324
4. 공․항만 감시체제 강화 327
Ⅱ. 마약류불법거래방지에관한특례법의 적극적 활용과 보완 329
1. 적극적 활용 : 불법수익 몰수 추적 전담반의 운영 329
2. 보 완 330
가. 독립몰수제도의 도입 330
나. 몰수재산의 관리․처분 : 마약류 퇴치기금 특별회계 신설 332
다. 기소면제 제도 도입 334
Ⅲ. 마약류 수요억제정책의 효과 극대화 335
1. 문제제기 335
2. 중독자에 대한 치료․재활의 실질화 및 활성화 337
가. 치료기관의 확충과 전문인력의 확보 337
나. 대책의 차등 및 새로운 제도 도입 338
3. 예방 및 홍보활동의 강화 340
Ⅳ. 국제적 협력체제 강화 342
제6장 결 론 345
참고문헌 351
영문요약 357

첨부파일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