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메뉴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언론의 범죄보도와 형사법적 문제점

  • 작성일2002.12.01
  • 조회수779

언론의 범죄보도와 형사법적 문제점

좌우로 스크롤 하시면 표의 전체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

연구책임자, 소속기관,내부연구참여자,외부참여연구자,발행기관,공개여부,출판일,등록일,페이지,분류기호,언어,판매여부,판매가격,보고서유형,ISBN,표준분류,연구유형,자료유형
연구책임자 소속기관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내부연구참여자 외 1인 외부참여연구자
발행기관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공개여부 공개
출판일 2002.12.01 등록일 2002.12.01
페이지 0 분류기호 02-18
언어 한국어 판매여부 판매중지
판매가격 0 보고서유형
ISBN 표준분류
연구유형 자료유형
국문요약 9
제1장 서 론 19

제1절 연구의 목적 19
제2절 연구의 내용과 범위 21

제2장 언론의 범죄보도의 기능과 문제점 23

제1절 언론의 범죄보도의 사회적 기능 24
1. 한계설정 기능 24
2. 규범안정화 기능 26
3. 사회구조적 문제의 경시와 낙인과정 28
제2절 언론의 범죄보도 경향 30
1. 혐의보도 30
2. 폭로보도 31
3. 선정적 보도 31
제3절 혐의․폭로 보도의 원인 33
1. 언론사 내부의 편집구조 33
2. 상업성과 언론사간의 경쟁구조 34
3. 제한된 취재원 35

제3장 언론의 범죄보도와 관련자의 인격권 보호 39
제1절 범죄보도와 명예인격권의 보호 40
1. 명예훼손죄 41
가. 사실의 적시와 가치판단 41
나. 명예훼손적 보도의 유형과 수단 44
다. 피의사실 보도로 인한 신용훼손 46
2. 출판물에 의한 명예훼손 47
가. 언론매체와 출판물의 개념 47
나. 비방의 목적 48
다. 기사내용에 대한 언론기관 종사자의 책임 52
3. 범죄보도와 명예훼손죄에 관한 비교법적 고찰 53
가. 미국 연방대법원의 명예훼손 면책법리 53
나. 독일 형법상 명예훼손죄와 위법성조각사유 57
다. 일본 형법상 명예훼손죄와 위법성조각사유 62
4. 위법성 조각사유로서 제310조의 규범해석과 적용의 실제 65
가. 형법 제310조의 해석에 관한 문제제기 65
나. 범죄사건 보도사례와 형법 제310조의 해석․적용 72
다. 범죄사건 보도와 진실성 및 공익성에 관한 착오 83
제2절 범죄관련자의 프라이버시 보호의 가능성과 한계 90
1. 프라이버시권의 개념 90
2. 프라이버시권의 형법적 보호가능성 91
가. 형사특별법상 프라이버시권 보호규범 92
나. 형법상 프라이버시권 보호의 가능성 93
나. 명예훼손죄에 의한 프라이버시권 보호의 한계 94
3. 프라이버시권 침해의 새로운 문제영역과 대응책 95
가. 사건취재의 영역에서 프라이버시권 침해의 새로운 유형 95
나. 새로운 유형의 프라이버시권 침해에 대한 형법적 개입의 한계 98
제3절 범죄관련자의 초상․실명 보호의 가능성과 한계 100
1. 익명보도의 원칙과 초상․실명보호의 필요성 100
2. 현행법상 초상․실명 보호의 가능성과 문제점 103
가. 언론기관의 자율규제에 의한 초상권 등의 보호 103
나. 형사특별법상 범죄피해자의 초상․실명의 보호 106
다. 피의자․피고인의 초상․실명의 보호가능성 108
3. 입법론: 초상․실명의 형법적 보호에 관한 비교법적 접근 111
가. 독일 예술저작권법 제22조 내지 제24조 111
나. 시대사적 인물의 개념 113
다. 범죄의 중대성과 혐의의 정도 115
라. 초상공개의 시점 116

제4장 언론의 범죄보도와 형사절차의 공정성 보호 121

제1절 수사절차의 공정성 보호 121
1. 범죄관련자의 수사공정성 침해가 문제되는 보도유형 121
2. 무죄추정원칙과 유죄추단적 보도의 금지 122
가. 무죄추정원칙의 양면성 123
나. 무죄추정원칙의 적용범위 124
다. 무죄추정원칙의 규범적 효력 131
3. 수사절차보호의 기본규범으로서 피의사실공표죄 132
가. 수사비공개원칙과 공개수사의 필요성 132
나. 공개수사의 수단으로서 언론매체 133
다. 수사비공개와 피의사실공표죄 136
제2절 언론매체에 의한 간접공개 142
1. 재판공개원칙과 피고인의 인격권 보호 142
가. 재판공개원칙의 현대적 의미 143
나. 피고인의 인격권 보호를 위한 비공개의 가능성 144
다. 인격권보호를 위한 재판비공개의 법적 문제점 145
2. 언론매체에 의한 간접공개의 허용성 147
가. 간접공개 관련규범 147
나. 간접공개의 허용에 관한 비교법적 검토 149
다. 언론매체 투입의 정책적 검토 155
제3절 범죄보도와 공판절차의 보호 156
1. 재판 전 범죄보도의 선판결 기능 156
가. 선판결적 보도와 여론재판의 위험성 156
나. 직업법관제도와 선판결의 영향 158
다. 공정성 원칙의 개념과 내용 159
2. 형사절차의 공정성 보장수단의 비교법적 검토 161
가. 영국의 법정모욕죄 162
나. 미국 판례법상 피고인의 이익을 위한 무죄판결 164
다. 독일 형법 제353d조 167
3. 선판결적 범죄보도에 대한 대처수단 170
가. 소송법적 대처수단 170
나. 실체법적 대처수단으로서 법정모욕죄 174
다. 선판결적 보도에 대한 대처수단의 문제점 176

제5장 결 론 177
참고문헌 183
독문요약 193

첨부파일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