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메뉴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형사입법자의 형벌법규 제정권한의 한계

  • 작성일2003.12.01
  • 조회수1,165

형사입법자의 형벌법규 제정권한의 한계

좌우로 스크롤 하시면 표의 전체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

연구책임자, 소속기관,내부연구참여자,외부참여연구자,발행기관,공개여부,출판일,등록일,페이지,분류기호,언어,판매여부,판매가격,보고서유형,ISBN,표준분류,연구유형,자료유형
연구책임자 소속기관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내부연구참여자 외 1인 외부참여연구자
발행기관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공개여부 공개
출판일 2003.12.01 등록일 2003.12.01
페이지 0 분류기호 03-11
언어 한국어 판매여부 판매중지
판매가격 0 보고서유형
ISBN 표준분류
연구유형 자료유형
국문요약 13

제1장 서 론 25

제1절 연구의 목적 25
제2절 서술의 과정 28

제2장 형사입법의 한계기준으로서 법익개념 31

제1절 법익개념의 역할과 법익패러다임의 변화 32
1. 법익개념의 의미와 기능 32
가. 주관적 권리개념에서 추상적 가치개념으로 32
나. 비판적 법익개념과 실질적 범죄개념 34
다. 법익개념의 비판적 기능 36

2. 위험사회에서 법익패러다임의 변화 37
가. 법익보호의 전치화 38
나. 새로운 (보편적) 법익의 창설 39
다. 적극적 일반예방의 르네상스 40

3. 상징적 형사입법의 문제점 44
가. 상징적 형법의 개념 44
나. 상징적 형사입법의 문제점 45
다. 형사특별법의 상징적 성격 46

제2절 형법제한적 법익관념에 대한 비판과 재구성 49
1. 체계비판적 법익개념에 대한 비판과 평가 49
가. 법익개념의 기능장애 49
나. 법익개념의 절대적 해결방식 51
다. 헌법적 관점에서의 비판 52

2. 법익론과 동떨어진 형법제한의 관념들 54
가. Naucke의 주관적 권리관념론 54
나. Amelung의 사회보호론 55
다. Jakobs의 규범보호론 56

3. 법익론에 기초한 형법제한관념의 재구성 59
가. Hassemer의 사회적 합의에 중심된 법익론 60
나. 인격적 법익론 62
다. 간섭법을 통한 보편적 법익문제 해결 63

제3절 행위규범 입법의 한계기준으로서 법익과 범죄유형 64
1. 법익개념의 규범적 근거지움 65
가. 객관적 가치질서 65
나. 사회현실의 고려 66
다. 형법적 법익의 내용과 제한가능성 67

2. 행위규범 입법의 보충적 정당성 기준으로서 범죄유형 69
가. 법익과 침해방식의 구별필요성 69
나. 형사입법의 정당성판단에서 범죄유형의 의미 71
다. 개별적 범죄유형에 따른 형사입법의 정당성 72

3. 형사입법에 대한 규범통제의 현실 74
가. 입법자의 포괄적인 입법재량 74
나. 형사입법의 한계에 관한 헌법재판소의 결정례 75
다. 형사입법자의 개념확정권 77

제3장 형사입법의 헌법적 정당성과 한계 79

제1절 형사입법과 기본권 79
1. 기본권의 보호영역 80
가. 범죄와 기본권의 보호영역 80
나. 개별적 자유권과 기본권의 보호영역 82
다. 형사입법과 평등권 83

2. 형사입법과 기본권제한 86

3. 본질적 내용의 침해금지 87

제2절 비례원칙 89
1. 입법목적의 정당성 90
가. 입법목적에 관한 전통적 견해 90
나. 목적-수단의 관계에서 형사입법의 목적 91
다. 형사입법의 목적성과 비례원칙의 상관성 92

2. 적합성원칙 93
가. 적합성원칙의 내용 93
나. 적합성원칙과 입법목적과의 관계 94
다. 적합성원칙과 형벌목적 및 경험적 결과의 수용 95

3. 필요성원칙 96
가. 필요성 판단의 기준 96
나. 보충성 원칙과 형벌규범의 대안 98
다. 형사입법의 영역에서 필요성원칙의 문제점 99

4. 균형성원칙 100
가. 균형성원칙과 책임원칙 100
나. 균형성원칙의 구체적 문제영역 102
다. 균형성 판단의 어려움 106

5. 비례원칙에 관한 헌법재판소 결정례의 검토 107
가. 형벌법규 통제에 관한 헌법재판소의 기본입장 108
나. 헌법재판소의 주요 결정례 109
(1) 법정형의 하한이 지나치게 상향조정된 입법 109
(2) 가혹한 법정형의 입법 112
(3) 전단적 형벌의 입법 114
(4) 법정형공간이 지나치게 넓은 입법 116
다. 헌법재판소 판례의 문제점 118

제3절 명확성원칙 120
1. 형사입법의 영역에서 명확성원칙의 의미 121
가. 명확성원칙의 의의 121
나. 명확성원칙의 현행법적 근거 122
다. 명확성원칙의 규범과 실무의 불일치 124

2. 명확성원칙의 개별적 내용과 판단기준 125
가. 행위규범의 명확성 125
나. 제재규범의 명확성 129
다. 위임입법의 한계 131

3. 명확성원칙에 관한 판례와 문제점 132
가. 명확성원칙의 위반을 긍정한 판례 133
나. 명확성원칙 위반을 부정한 판례 134
다. 형사입법에 대한 판례의 의미 137

제4장 형사입법의 개선전략 139

제1절 실체법적 개선전략 140
1. 현행법의 상태 140

2. 헌법적 차원의 개선전략에 관한 논의 141
가. Gallwas의 제안 141
나. Jäger의 제안 142
다. 검토 143

3. 형법적 차원의 개선전략 144
가. 법익서열에 따른 법정형의 조화 144
나. 형사특별법의 폐지와 예시규정의 활용 145
다. 사회유해성조항의 도입 148
라. 행정형벌의 비범죄화 150

제2절 실험적 형사입법에 관한 논의 152
1. 실험적 형사입법의 의미 153
가. 실험적 입법의 개념 153
나. 법률실험의 예 154
다. 실험적 형사입법의 논의실익 156

2. 법률실험의 등장배경과 형사입법 157
가. 법률개념의 변화 157
나. 입법홍수와 법률의 질적 저하 157
다. 실험적 형사입법의 요청 158

3. 실험적 형사입법의 허용성 159
가. 죄형법정주의 159
나. 입법자의 보호의무 160
다. 비범죄화의 영역에서 실험적 형사입법 161

제3절 절차최적화를 통한 합리적 형사입법 161
1. 과학적으로 뒷받침된 형사정책 162
가. 우리나라 정책자문에서 형법학의 위치 163
나. 독일 정책자문에서 형법학의 위치 166
다. 과학적으로 뒷받침된 형사정책의 필요성 167
2. 형법학의 입법절차참가에 관한 대화이론적 모델 170
가. Habermas의 대화이론 170
나. 대화이론적 모델에 관한 반론 172
다. 형사입법과정에서 법적 대화의 필요성 173

3. 과학적 정책자문의 구체적 내용 174
가. 입법절차 최적화의 개별적 요건 175
나. 형사입법의 영역에서 학문과 정치의 역할분담 176
다. 자문기구의 상설화 179

제5장 결 론 181

참고문헌 187

독문요약 199

첨부파일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