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메뉴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공보험범죄의 실태와 대책

  • 작성일2003.12.01
  • 조회수679

공보험범죄의 실태와 대책

좌우로 스크롤 하시면 표의 전체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

연구책임자, 소속기관,내부연구참여자,외부참여연구자,발행기관,공개여부,출판일,등록일,페이지,분류기호,언어,판매여부,판매가격,보고서유형,ISBN,표준분류,연구유형,자료유형
연구책임자 소속기관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내부연구참여자 외 1인 외부참여연구자
발행기관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공개여부 공개
출판일 2003.12.01 등록일 2003.12.01
페이지 0 분류기호 03-18
언어 한국어 판매여부 판매중지
판매가격 0 보고서유형
ISBN 표준분류
연구유형 자료유형
국문요약 17

제1장 서 론 31

제1절 연구의 목적 31
제2절 연구범위 및 방법 33

제2장 공보험범죄의 개념과 특성 37

제1절 공보험범죄의 개념 37
1. 공보험의 개념 37
2. 공보험범죄의 개념 38
가. 개 관 38
1) 보험범죄의 개념 38
2) 공보험범죄의 개념 40
나. 4대 사회보험법상 보험범죄 관련 규정 40
1) 국민연금법 40
2) 국민건강보험법 41
3) 고용보험법 43
4) 산업재해보상보험법 44
다. 공보험범죄의 유형 44
1) 허위청구, 부정청구, 부당청구 44
2) 사업주의 해고 등 불법행위 46
3) 보고ㆍ검사의 기피 47
4) 연금보험료의 체납 48
5) 요양급여 거부 등 48
제2절 공보험범죄의 특성 49
1. 보험범죄의 특성 49
가. 타 범죄의 수반성 49
나. 수법의 다양화ㆍ지능화ㆍ은밀화 49
다. 입증의 곤란성 50
라. 범죄피해의 간접성과 광범위성 50
마. 공범에 의한 범죄 51
바. 피해 및 피해자의 특성 52
사. 보험범죄자의 특성 53
2. 보험범죄의 발생원인과 촉진요인 53
가. 빠지기 쉬운 범죄 유혹 53
나. 보상심리와 동조의식 54
다. 보험범죄에 대한 사회적 인식 54
라. 보험계약의 사행성 55
마. 보험범죄에 대한 대책의 미비 56
3. 공보험범죄의 특성 57
가. 사회보험에 대한 도덕적 해이 57
나. 고지의무(告知義務)의 不要 58
다. 입증의 곤란성 59
라. 생계형 범죄 60

제3장 공보험범죄의 실태 및 분석 61

제1절 국민건강보험 61
1. 개 요 61
2 허위․부정청구 유형 및 사례 65
가. 가짜의사 만들기․진료내역 허위기재 및 진료일수 늘리기 65
1) H내과ㆍ정신과의원(서울, 강남) 65
2) S병원 (경북) 65
3) C안과의원 (대전) 66
4) J의원 (대구) 66
5) 서울 H내과의원 67
6) 부산 S내과의원 67
7) 서울 K치과의원 68
8) 대전 E의원 68
9) 경기 H의원 69
10) T한방병원(대구시) 70
11) 경북 K한의원 70
나. 비급여진료후 병명을 바꿔 건강보험으로 청구 71
1) S병원(전남) 71
2) S피부과의원(서울) 71
3) 대전 S치과의원 71
4) 사회복지법인 S재단 K의원(서울) 72
5) CW의원(강원) 72
다. 의원과 약국 등이 공모하여 부정청구 73
1) S의원․D약국(경기 수원) 73
2) P약국․P의원(서울 영등포) 73
3) 경남 S의원 74
라. 본인부담금 과다청구 74
1) P의원(서울 송파) 74
2) G내과의원(서울 구로) 74
3) 서울 K내과의원 75
4) W의원 (경기 연천) 75
5) 전남 S병원 76
6) GM의료재단(전남) 76
7) DG의원(전남) 76
8) DN치과의원(서울) 76
마. 비약사의 불법조제 및 약사의 임의변경조제 청구 77
1) C약국 (부산 서구) 77
2) G약국 (전남 해남) 77
3) 경북 Y약국 78
4) GA약국(전남) 78
바. 의약품 증량․대체․허위청구 78
1) 부산 M약국 78
2) 서울 B약국 79
3) 경기 S의원 79
4) 대전 S병원 79
사. 양․한방의원에서 중복진료 80
1) D의원․D한의원 (경북) 80
2) P불교의원․한의원 (부산) 80
아. 불요불급한 의료기관 이용 부추키기 80
자. 환자를 형식적으로 진찰하고 진찰료 청구 81
1) O정형외과의원(서울) 81
2) 사회복지재단 S재단 K의원 81
차. 원외처방전 남발 82
제2절 산업재해보상보험 82
1. 부정청구와 관련된 산재보험제도의 특징 82
가. 다른 사회보험제도와의 차이 82
나. 의무가입제도의 허점 84
다. 업무상 재해 여부의 판단 84
라. 가입신고 및 보험료 납부 태만 중의 사고 보장 86
2. 허위ㆍ부정청구의 현황 및 사례 87
가. J지역 산재비리사건 88
나. 개인적 상병으로 급여를 받은 경우 89
1) J병원 89
2) H병원 90
3) L모씨 91
4) 근로자 K모씨 91
다. 고의 산재사고 유발 또는 위장 92
1) 최모씨 사례 92
2) 진모씨 사례 93
라. 보험료 등에 관련된 사례 93
1) 사업종류 부정사례 93
2) 개별요율 관련 부정사례 94
3) 보험료 부정사례 94
4) 급여징수 관련 부정사례 94
5) 평균임금 산정 부정사례 95
제3절 고용보험 95
1. 개 요 95
2. 허위ㆍ부정청구의 유형 및 사례 100
가. 실업급여 100
1) 영업사원으로 활동 중 실업급여를 수급 100
2) 자영업 영위 중 실업급여를 수급 101
3) 실업급여 수급 중 취업미신고 101
4) 실업자재취직훈련중 회사 입사 101
5) 근무기간을 축소신고하거나 누락 102
6) 사업주의 실업급여 수급 102
7) 정식발령 아닌 취업사실의 미신고 103
8) 인터넷 사업자 등록의 미신고 103
9) 이직사유의 허위신고 103
10) 이직확인서 허위 제출 104
11) 파트타임으로 재취직 후 실업급여 수급 104
12) 구직활동 내역 허위신고 105
13) 사업주와 공모하여 허위신고서 제출 105
14) 취업일 허위 신고 105
나. 고용안정사업 106
1) 채용장려금 부정수급 관련 106
2) 고용유지(휴업)지원금 부정수급 관련 106
다. 직업능력개발사업 108
1) 훈련 미실시ㆍ훈련일정 허위제출 108
2) 훈련 미실시ㆍ부실 운영 108
3) 훈련 시간 부족 109
4) 훈련일정 및 내용 임의변경 110
5) 동일한 훈련과정 중복 실시 110
6) 훈련일정 임의ㆍ변경 및 출결관리 부실 111
7) 출석부 조작 112
8) 사업주의 훈련비 미지급 112
9) 원격지 훈련과정의 부실 112
제4절 국민연금 115
1. 개 요 115
2. 사 례 117

제4장 미국의 공적 의료보험제도와 공보험범죄 119

제1절 미국의 공적 의료보험제도 119
1. 개 관 119
2. 특 징 122
3. 메디케어(Medicare) 123
가. 개관 123
나. 피보험자 124
1) 파트A (병원보험 또는 입원보험) 124
2) 파트B (보충적 의료보험) 124
다. 급여내용 125
1) 파트 A 125
2) 파트 B 126
3) 파트 A, 파트 B 어느 것에도 급여대상이 되지 않는 것 127
라. 진료보수 지불방식 128
1) DRG 방식과 성과불방식 128
2) 「지정지불」방식과「非지정지불」방식 129
마. 재 원 129
바. 제도운영주체 130
1) 보건부 130
2) 의료재정청 131
3) 사회보장청(Social Security Administration : SSA) 131
사. 심사ㆍ지불ㆍ질의 확보 132
1) 중간지불기관(Intermediary, Carrier) 132
2) 동료심사위원회(Peer Review Organization) 133
4. 메디케이드(Medicaid) 134
가. 개 관 134
나. 대상자 134
다. 급여내용 135
라. 진료수가 지불방식 136
마. 재 원 137
바. 운영주체 137
제2절 허위ㆍ부정청구 방지대책 137
1. 개 관 137
2. 허위ㆍ부정청구의 요인 138
가. 의사 등 의료공급자의 우월적 지위 138
나. 구조적 요인 139
다. 청구건수의 증가 139
라. 기술적 요인: 중앙 전산시스템의 부재 140
마. 법적 요인 140
3. 진료비 부정청구방지에 관한 법률 140
가. 금품수수금지법(Antikickback Laws)의 제정 140
나. 금품수수금지법(Antikickback Law)의 발전 141
다. 민사허위청구방지법(Civil False Claims Act, CFCA) 144
라. 민사벌금법(Civil Monetary Penalties Law, CMPL) 145
마. 부정청구행위의 기소에 활용하는 기타 연방법률 146
1) 우편ㆍ전신사기 방지법규 146
2) 조직적 공갈협박 및 범죄조장행위 처벌법(RICO Act) 148
3) 금전세탁방지법(Money Laundering) 149
4. 최근의 동향 150
가. 클린턴 정부의 대응책 150
나. 진료비 부정청구방지법의 주요골자 152
제3절 메디케어ㆍ메디케이드에 대한 범죄 실태 153
1. 허위ㆍ부정청구의 기소 현황 153
2. 허위ㆍ부정청구의 유형 155
3. 허위ㆍ부정청구의 사례 156
가. Joyce Lee Hickman 사건 156
나. Dr. Aubrey Camacho 사건 157
다. Dr. Winston Worthington 사건 158
라. Alan Daniel 사건 158
마. Linda Pappert 사건 159
바. Robbin gail Nicoloff 사건 160
사. Darryl Welch 사건 161
아. Robert Walker 161
자. Alice Peters 사건 162
차. Enrique Rojas 사건 162

제5장 공보험범죄의 대책 165

제1절 공보험범죄에 대한 인식의 전환 165
1. 범죄성 인식의 계도 165
2. 요양병원 등의 인식전환을 위한 대책 167
3. 수급자의 인식전환을 위한 대책 168
제2절 법적 대응방안 169
1. 개별 사회보험법의 정비ㆍ적용 169
가. 건강보험법의 처벌규정 미비 169
나. 4대 사회보험법의 처벌규정 정비 170
다. 산재보험법의 미가입 및 보험료 체납 중의 사고보상 171
2. 법률 제정의 논의 필요성 172
제3절 전담조직의 설치운영 174
제4절 부당청구 차단을 위한 다중장치 가동 177
1. 심사업무의 다중화 177
2.. 진료기록부의 활용 178
제5절 4대 사회보험의 연계방안 181

제6장 결 론 185

참고문헌 189

영문요약 197

첨부파일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