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메뉴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21세기 형사사법개혁의 방향과 대국민법률서비스 개선방안(II)

  • 작성일2005.04.03
  • 조회수554

21세기 형사사법개혁의 방향과 대국민법률서비스 개선방안(II)

좌우로 스크롤 하시면 표의 전체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

연구책임자, 소속기관,내부연구참여자,외부참여연구자,발행기관,공개여부,출판일,등록일,페이지,분류기호,언어,판매여부,판매가격,보고서유형,ISBN,표준분류,연구유형,자료유형
연구책임자 소속기관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내부연구참여자 외 1인 외부참여연구자
발행기관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공개여부 공개
출판일 2004.12.29 등록일 2005.04.03
페이지 0 분류기호 04-02
언어 한국어 판매여부 판매
판매가격 0 보고서유형
ISBN 표준분류
연구유형 자료유형
제3부 형사사법개혁의 쟁점과 동향

국문요약 19

제1장 서 론 21
제1절 최근의 사법개혁 논의 21
1. 사법개혁위원회의 발족 21
2. 형사사법개혁의 경과 22
3. 사법개혁위원회 논의의 특징 23
제2절 사법개혁위원회의 논의과제 24
1. 국민의 사법참여 25
2. 형사사법제도의 개혁 28
제3절 지금까지의 논의성과와 전망 32
1. 경미사건에 대한 처리절차의 정비 32
2. 피의자·피고인의 방어권보장 32

제2장 형사사법 인프라의 구축과 재조정 36
제1절 경미사건처리절차의 확충 36
1. 경미사건처리절차의 변천 36
2. 시·군법원의 파행성 38
3. 시민법원의 설치여건 39
4. 시민법원 설치에 대한 찬반론 40
제2절 대법원의 기능과 구성문제 42
1. 대법원의 사건부담 42
2. 대법원의 기능에 관한 세 가지 견해 45
3. 세 가지 견해에 관한 비판적 검토 47
4. 고등법원 상고부의 설치방안 50
제3절 형사사법에의 시민참여 51
1. 시민참여의 의의 51
2. 배심제도의 문제점 52
3. 참심제도의 장점 54

제3장 긴급체포제도와 영장주의 56
제1절 현행 긴급체포의 문제점 56
1. 긴급체포와 사후영장의 불비 56
2. 긴급체포와 영장 없는 압수·수색 57
3. 법무부의 형사소송법개정안 59
제2절 사후체포영장의 도입에 관한 논의 60
1. 사후체포영장에 대한 찬성론과 반대론 60
2. 사후체포영장과 검사의 영장청구권 62

제4장 공판절차의 재구성 65
제1절 현행 공판절차의 소묘 65
1. 일본 형소법과의 비교 65
2. 공판절차의 변질 66
제2절 피고인신문과 수사기록의 필요성 67
1. 수사기록의 입수방안 67
2. 수사기록의 열람․등사와 피고인신문 69
제3절 1954년 제정 형소법의 구도 70
1. 직권주의적 결단 70
2. 공소장일본주의의 배제 72
제4절 당사자주의적 형소법 개정 74
1. 피고인신문절차와 당사자주의 74
2. 열람․등사권의 제한 76
3. 피고인신문순서의 변경 77
4. 교호신문과 전문법칙의 도입 78
제5절 형사소송규칙의 제정과 공소장일본주의의 도입 79
1. 공소장일본주의의 도입취지 79
2. 공소장일본주의의 실제 80
제6절 공판중심주의와 공소장일본주의 82
1. 형소규칙 제118조 제2항의 위헌무효성 82
2. 새로운 공판절차의 진행순서 83

제5장 소위 조서재판의 극복방안 86
제1절 조서재판의 문제점 86
1. 조서재판의 폐단 86
2. 현행 형사재판의 소묘 86
제2절 식민지 형사재판과 조서재판 89
1. 최소비용에 의한 최대수탈 89
2. 소위 법령에 의하여 작성된 신문조서 90
3. 미군정법령 제176호와 조서의 증거능력 91
4. 단기4282 형상 제79호 대법원 판결 92
제3절 형사소송법의 제정과 증거능력에 관한 규정 96
1. 법전편찬위원회의 형사사법조직에 대한 구상 96
2. 법전편찬위원회초안과 조서의 증거능력 98
3. 법사위수정안과 조서의 증거능력 100
4. 1961년의 형소법개정 102
제4절 조서의 증거능력에 관한 해석론 104
1. 진정성립에 관한 학설 대립 104
2. 검사작성 피의자신문조서의 새로운 평가 109
제4절 조서의 증거능력에 대한 새로운 제안 111
1. 조서의 증거능력에 관한 대폭적 제한 111
2. 증거서류에 대한 증거조사방법의 개선 114
제6장 형사소송법의 전면개정 필요성 117
제1절 형사소송법의 급속한 제정 117
1. 정부초안과 법사위수정안 117
2. 수사상 강제처분과 준용규정 118
3. 예심제도의 영향과 준용규정 119
제2절 형사소송법과 재량규정의 남용 120
제3절 형사소송법의 전면개정을 위한 위원회 필요성 121

제7장 결 론 123

참고문헌 126

Abstract 128

제4부 소년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국문요약 133

제1장 서 론 137

제2장 소년법상의 제 연령 기준에 관한 고찰 140
제1절 개 관 140
제2절 소년의 연령에 관하여 제기되는 문제 141
1. 형사미성년 연령 143
2. 촉법소년 연령 143
3. 우범(虞犯)소년 연령 144
제3절 소년의 연령에 관한 역사적 및 비교법적 고찰 145
1. 로마법 145
2. 영 국 147
3. 미 국 149
4. 독 일 151
5. 일 본 154
6. 우리나라 156
7. 소 결 158
제4절 소년법상 각종 연령 인하론에 관한 고찰 159
1. 형사책임연령 인하론 160
2. 보호처분 연령의 하향론 165
3. 촉법소년에 대한 보호처분 폐지론 167
4. 형사미성년연령 인상론 169
5. 소년의 상한연령 인하론 170
6. 우범소년의 관할문제 172
7. 보 론: 발달심리학의 성과에 관한 고찰 175
8. 소 결 178
제3장 연령기준에 관한 약간의 해석론적 고찰 180
1. 형사처분과 소년의 연령: 부정기형과 소년감경 문제 180
2. 보호처분과 소년의 연령 184

제4장 검사선의주의의 문제점 185
1. 현행 소년사법에서의 검사선의주의 185
2. 법원선의주의로의 전환 논의 186
3. 외국의 입법례 187
4. 검 토 188

제5장 요보호성 판단을 위한 조사제도의 문제점 192
1. 소년조사제도 현황 192
2. 소년분류심사원 제도 193

제6장 소년보호사건 처리절차상의 문제 198
1. 소년사건처리절차 개관 198
2. 사건처리기간의 단축문제 200
3. 적법절차 원칙의 문제 200

제7장 소년법상 보호처분의 각 유형별 검토 203
1. 제1호 처분(감호위탁처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203
2. 제2호․3호 처분(보호관찰처분)의 문제점 205
3. 제4호․5호 처분의 문제점 210
4. 6호․7호 처분(소년원 송치)의 문제점 212

제8장 결 론 216

참고문헌 220

Abstract 224
제5부 형사법상 회적적 사법의 가능성과 과제

국문요약 229

제1장 들어가는 말 234

제2장 회복적 사법이란 무엇인가 239
제1절 회복적 사법의 정의 239
1. 개념정의와 그 구체화 239
2. 회복적 사법의 공통된 특징들 243
3. 회복적 사법프로그램의 핵심적 요소 245
제2절 회복적 사법의 역사와 발달 배경 247
1. 피해자중심적 형사정책으로의 전환 247
2. 회복적 사법의 경험적 토대와 그 발전 249
3. 비공식적 사법운동과 회복적 사법 251
4. 규제적 국가형태의 등장과 회복적 사법의 발달 252
제3절 용어의 정리 254
1. 조정(Mediation) 254
2. 피해자-가해자-조정(Victim-Offender-Mediation) 255
3. 화해(Reconciliation) 255
4. 협의(Conferencing) 256
5. 서클(Circles) 257
6. 배상(reparation) 혹은 원상회복(restitution) 257
7. 다이버전(Diversion) 258

제3장 회복적 모델과 주요 회복적 프로그램들 259
제1절 조정모델과 구체적 프로그램들 259
1. 조정모델의 의의 259
2. 피해자-가해자 화해(Victim-Offender Reconciliation) 261
3. 피해자-가해자 조정(Victim-Offender Mediation) 262
제2절 협의모델과 구체적 프로그램들 266
1. 협의모델의 의의 266
2. 뉴질랜드의 청소년 사법 가족집단협의(JFGC) 267
3. 경찰협의모델 271
4. 커뮤니티 협의 277
제3절 서클모델과 구체적 프로그램들 282
1. 서클모델의 의의 282
2. 양형서클(Sentencing Circles) 283
3. 치유서클(Healing Circles) 286

제4장 회복적 사법프로그램의 발전과 확대 및 입법화 291
제1절 회복적 사법의 발전과 확대 292
1. 범죄 종류의 확대 292
2. 회복적 개입 단계의 광역화 295
3. 회복적 사법에 적합한 피해자 유형 296
제2절 회복적 사법의 활용을 위한 각국의 입법적 조치 297
1. 영국과 웨일즈 297
2. 뉴질랜드 299
3. 오스트리아 300
4. 독 일 302
5. 일 본 307
제3절 회복적 사법을 고려하고 있는 정부간기구들의 역할 308
1. 유럽의회의 권고안(Council of Europe Recommendation R
(99)19) 308
2. 루뱅 선언 309
3. 영국의 회복적 콘소시움의 회복적 사법 표준 310
4. 피해자-가해자 조정협회(VOMA)의 윤리 가이드라인 310
5. 세계형사법원(ICC)의 설립에 관한 로마선언 311
제4절 회복적 사법프로그램의 활용을 위한 유엔의 기본원칙 311
1. 배 경 311
2. 기본원칙의 내용 313
<전문> 314
1. 용어의 사용 314
2. 회복적 프로그램들의 활용 315
3. 회복적 사법 프로그램들의 운용 316
4. 회복적 사법 프로그램들의 계속적인 발전 318
5. 유보조항 318

제5장 회복적 사법에 대한 평가 319
제1절 종래의 형사사법제도와 회복적 사법의 차이점 319
1. 절차상의 차이 320
2. 대응방식의 차이 321
3. 감정적 요소의 배제와 감정적 요소의 활용 322
4. 국가의 역할 차이 323
5. 커뮤니티의 역할 차이 324
제2절 회복적 사법의 장점과 문제점 325
1. 회복적 사법의 장점 325
2. 회복적 사법프로그램의 활용상의 문제점 328
제3절 종합적 평가 338
1. 비판에 대한 반론 338
2. 회복적 사법의 미래와 성공가능성 341

제6장 회복적 사법의 전망과 한국형사법상의 개혁과제 345
제1절 수렴하고 있는 두 개의 사법모델 345
제2절 회복적 사법의 도입가능성과 그 형태 346
제3절 통합적․회복적 사법프로그램의 과제 348
제7장 나오는 말 352

참고자료 355

참고문헌 361

Abstract 367

첨부파일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