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메뉴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국가보안법의 운영실태와 개정방안

  • 작성일2005.04.03
  • 조회수2,078

국가보안법의 운영실태와 개정방안

좌우로 스크롤 하시면 표의 전체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

연구책임자, 소속기관,내부연구참여자,외부참여연구자,발행기관,공개여부,출판일,등록일,페이지,분류기호,언어,판매여부,판매가격,보고서유형,ISBN,표준분류,연구유형,자료유형
연구책임자 심희기 소속기관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내부연구참여자 심희기 외 1인 외부참여연구자
발행기관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공개여부 공개
출판일 2004.12.29 등록일 2005.04.03
페이지 0 분류기호 04-48
언어 한국어 판매여부 판매
판매가격 9000 보고서유형
ISBN 표준분류
연구유형 자료유형
국문요약 11

제1장 연구목적과 방법 15

제1절 연구의 필요성 15
제2절 연구목적 15
제3절 연구의 방법과 범위의 한정 18
1. 연구대상의 한정 18
2. 연구방법 19
3. 분석시각 22

제2장 1991년 법의 제정경위 23

제1절 1990년 헌재결정의 내용 24
제2절 1989년 공청회에서 개진된 언술․논변들의 분석방향 35
제3절 ‘정당성 언술’(Legitimacy Narrative) 36
1. 국보법이 인권침해법률인가 여부에 관한 공방 36
2. 국보법이 죄형법정주의를 위배한 법률인가에 관한 공방 41
3. 국가보안법 ‘제․개정과정의 절차적 흠’의 존부 45
4. 오․남용의 존부와 존재하는 경우의 해결방안 51
제4절 ‘필요성’과 ‘안보의식의 상징성’ 언술 56
1. ‘민주적 기본질서의 수호 필요성’ 언술 56
2. ‘국가안보의식강화의 상징’ 언술 61
3. 남북관계변화․남북의 대남북정책변화의 존부에 관한 언술 69
4. 자유민주적 기본질서에 입각하지 아니한 통일까지
용인하는가 여부 79
제5절 개폐시 발생하는 부수문제 80
1. 전면폐지시 발생하는 부수문제 80
2. ‘폐지 후 형법보완론’에 대한 비판 90
3. 대체입법론에 대한 비판 91
4. 소폭개정론에 관한 공방 97
제6절 소 결 100

제3장 1991년 법 시행 13년 동안의 국보법 해석․적용례의
실증적 검토 109

제1절 서 론 109
제2절 1991년 국가보안법 조항 전체에 대한 총체적 분석 112
제3절 헌법재판소와 대법원의 해석․적용례의 실증적 검토 121
1. 국가보안법 전체의 위헌성 여부 121
2. 국가보안법의 규범력 122
3. 국가보안법의 적용배제 123
4. 국가보안법상의 반국가단체와 이적단체의 구별 124
제4절 개별 처벌조항의 검토 128
1. 국가보안법 제3조에 관하여 128
2. 국가보안법 제4조 제1항 제2호 (나)목의 위헌 여부 128
3. 국가보안법 제5조 132
4. 국가보안법 제6조 133
5. 국가보안법 제7조 139
6. 국가보안법 제8조 제1항 151
7. 국가보안법 제10조 154
8. 국가보안법 제13조 156
9. 국가보안법 제19조 157
제5절 소 결 158

제4장 1998년 이후의 국보법 개폐논쟁의 추이 163

제1절 폐지론과 존치론의 공방의 지속 164
1. 페지론의 언술 164
2. 존치론의 반박 167
3. 존치론 진영에서의 소폭개정론의 대두 169
4. 중폭개정론의 내용 173
5. 폐지론자들이 가장 문제 삼는 독소조항과 존치론자들의
마지노선 174
제2절 소결: ‘1998년 이후 언술․논쟁’의 지형상 특징 174

제5장 미국․독일․북한의 국가안전보장관련법제 179

제1절 미국의 정부전복의 주장·행동에 대한 규제 179
1. 법률과 판례의 변천 179
2. 소 결 186
제2절 독일 형법상 국가보안 관련 규정 189
1. 개념규정 189
2. 평화파괴죄(Friedensverrat) 194
3. 국가전복죄(Hochverrat) 196
4. 민주적 법치국가 위해죄(Gefährdung des
demokratischen Rechtsstaates) 198
5. 외적안보위해죄(Landesverrat und Gefährdung der
äusseren Sicherheit) 204
제3절 대한민국의 국가안보와 관련성 있는 북한의 법제 209
1. 북한법의 개요 209
2. 조선노동당 규약 210
3.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회주의 헌법 212
4. 북한 형법 213
제4절 한반도의 정세변화와 국가보안법 216
1. 문제의 제기 216
2. 한반도 정치정세의 변화 217
3. 남북교류협력에관한법률 227
4. 1953년 정전협정을 평화협정으로 대체하는 문제 244

제6장 국가보안법 개폐방안의 탐구 253

제1절 민노당․열린 우리당의 폐지의안의 제안이유 253
제2절 열린 우리당의 형법중개정법률안의 분석 254
제3절 처벌공백이 우려되는 행위목록에 대한 검토 256
1. 우려되는 행위목록 257
2. 법적용의 예측 258
제4절 개폐에 임하는 기본입장의 검토 260
1. 문제의 제기 261
2. 형법의 내란죄․외환죄 조항과 국보법 조항의 대조분석 264
3. 1992년의 대법원 전원합의체판결과 판례사안 266
4. 1996년 판결과 판례사안 270
5. 표현의 자유의 제한법리 276
6. 제7조의 개정방향 281
제5절 소 결 287

참고문헌 291

영문요약 297

부 록
[부록1] 국가보안법 폐지 권고결정문
(2004. 8. 23. 국가인권위원회) 301
[부록2] 國家保安法廢止法律案(노회찬 의원 대표발의) 355
[부록3] 민주질서보호법안 361
[부록4] 國家保安法廢止法律案(최용규 의원 발의) 391
[부록5] 刑法中改正法律案(최재천 의원 발의) 397
[부록6] 최근 5년간 국가보안법 위반사범통계 401
[부록7] 조선로동당 규약 전문(前文) 403
[부록8]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회주의 헌법 서문 407

첨부파일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