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메뉴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검시제도의 실태 및 개선 방안

  • 작성일2006.04.07
  • 조회수3,017

검시제도의 실태 및 개선 방안

좌우로 스크롤 하시면 표의 전체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

연구책임자, 소속기관,내부연구참여자,외부참여연구자,발행기관,공개여부,출판일,등록일,페이지,분류기호,언어,판매여부,판매가격,보고서유형,ISBN,표준분류,연구유형,자료유형
연구책임자 소속기관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내부연구참여자 외 1인 외부참여연구자
발행기관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공개여부 공개
출판일 2005-12 등록일 2006.04.07
페이지 0 분류기호 05-25
언어 한국어 판매여부 판매
판매가격 7000 보고서유형
ISBN 표준분류
연구유형 자료유형
국문요약 1

제1장 서 론 1

제2장 현행 검시제도의 개관 3
제1절 검시의 개념 3
1. 行政檢視 3
2. 司法檢視 4
3. 檢屍의 유형 5
가. 검안 5
나. 부검 5
제2절 검시의 대상 7
제3절 검시의 권한과 절차 8
1. 검시의 권한 8
2. 검시의 절차 8

제3장 검시제도의 현황과 문제점 10
제1절 검시제도의 현황 10
제2절 검시제도의 문제점 11
1. 검시대상의 문제점 12
2. 검시관여자의 검시능력의 문제점 13
3. 법의학적 검사기관의 독립성 문제 15

제4장 검시제도의 비교법적 고찰 17
제1절 독일의 검시제도 17
1. 개요 및 문제점 17
2. 검시행위와 부검행위의 생성과 발전 20
3. 검시활동의 현황 21
가. 사망증명서의 비밀이 아닌 부분 22
나. 사망증명서의 비밀부분 24
다. 오늘날의 검시 실무에 대한 비판 24
4. 부검법(Obduktionsrecht)의 현황 26
가. 임상-과학적 부검(klinische Sektion) 27
나. 해부학적 부검(die anatomische Obduktion) 27
다. 사보험법(Privatversicherungsrechtlich)에 근거한 부검 28
라. 사인부검(Privatsektion) 28
5. 부검법(Obduktionsrecht)상의 해결모델 29
가. 엄격한 동의모델과 확장된 동의모델(Die enge und
erweiterte Einwilligungslösung) 30
나. 엄격한 반대모델과 확장된 반대모델(Die enge und
erweiterte Widerspruchslösung) 30
다. 통지모델(Informationslösung) 30
6. 부검법에 대한 입법초안과 주법차원의 규율 31
가. 1972/73년 베를린 초안 31
나. 1978년 연방과 주 사이 실무그룹(Bund-Länder-
Arbeitsgruppe)의 제안 32
다. 브레멘주(Freien Hansestadt Bremen)의 임상부검에 대한
법적 규율 33
라. 독일의료법학회(Deutschen Gesellschaft für
Medizinrecht-DGMR)의 제안 33
마. 구동독의 ‘의사에 의한 검시에 관한 명령(Anordnung
über ärztliche Leichenschau)’ 34
바. 1990년 제93회 독일의사대회의 ‘지시모델(Indikationslösung)’ 34
사. 새로운 주법상의 규율들(예를 들어 베를린, 함부르크,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자르란트, 튀링엔) 35
7. 소 결 36
제2절 오스트리아의 검시제도 37
1. 행정검시 37
2. 사법검시 39
3. 병원에서의 해부 41
4. 법의학의 상황 41
제3절 스코틀랜드의 검시제도 42
1. 개요 42
2. 검시의 대상 43
3. 검시의 절차 44
4. 스코틀랜드 검시제도의 특징 46
제4절 일본의 검시제도 47
1. 개요 47
2. 검시의 권한 48
3. 비범죄사체의 검시절차 49
가. 행정검시 49
나. 행정부검 50
다. 監察医制度(medical examiner) 51
4. 변사체 및 이상사체의 검시절차 52
가. 변사체와 변사의 의심이 있는 사체 52
나. 사법검시 53
다. 代行檢視 54
라. 형사조사관 54
마. 변사체와 검시체제 55
제5절 영국의 검시제도 - England와 Wales의 검시제도- 56
1. 영국 검시제도의 개요와 실태 56
2. 검시관직의 현황 및 검안ㆍ부검의 실시 58
3. 교도소에서의 사망사례와 검시재판 59
가. 대상범위 59
나. 수용자유족의 검시재판참가 60
다. 검시재판의 목적 61
라. 사전증거개시와 증거조사 62
마. 평결내용 63
4. 최근의 동향 64
제6절 미국의 검시제도 65
1. 개 요 65
2. 검시제도의 유형 66
가. 법의관제도를 채택하고 있는 주 67
나. 법의관제도와 검시관제도를 혼용하고 있는 주 69
다. 검시관제도를 채택하고 있는 주 69
3. 검시제도의 운용 69
가. 검시의 대상 및 법의관의 권한 69
나. 검시절차 73
4. 법의관제도의 특징-독립성 및 전문성- 75
5. 법의관 제도 및 검시관 제도의 상이점 76
제7절 캐나다의 검시제도 77
1. 검시제도의 역사 78
2. British Columbia州의 검시관(Coroner)제도 79
가. 검시관의 자격 79
나. 검시관의 업무 79
다. 검시관의 권한 80
3. 캐나다의 법의관제도 81
4. 검시관제도와 장기이식과의 관계 82
5. 우리나라에의 시사점 83
제8절 각국 검시제도의 비교고찰 84

제5장 검시제도의 개선방안 88
제1절 개선방안의 방향 88
제2절 법규체계의 정비 90
1. 명백한 병사가 아닌 모든 죽음의 조사를 보장하기
위한 법규정비 90
가. 의료법규정 정비 93
나. 사법경찰관리집무규칙규정 정비 94
다. 형사소송법규정 정비 94
라. 장사등에관한법률규정 정비 94
마. 호적법규정 정비 95
2. 법의학 전문인력에 의한 검안 및 부검 규정 정비 96
가. 법의학전문가의 검시과정 참여 97
나. 부검의에 대한 자격규정의 신설 97
제3절 검안 및 부검을 시행하는 법의학적 검사기관의 독립화 98
제4절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법의학교육제도의 개선 100
제5절 제도개선을 위한 실행위원회의 구성 102
제6장 결 론 104

참고문헌 106

영문요약 106

첨부파일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