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메뉴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의료인의 환자간의 갈등해소를 위한 법적 제도적 방안

  • 작성일2006.04.07
  • 조회수1,316

의료인의 환자간의 갈등해소를 위한 법적 제도적 방안

좌우로 스크롤 하시면 표의 전체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

연구책임자, 소속기관,내부연구참여자,외부참여연구자,발행기관,공개여부,출판일,등록일,페이지,분류기호,언어,판매여부,판매가격,보고서유형,ISBN,표준분류,연구유형,자료유형
연구책임자 소속기관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내부연구참여자 외 1인 외부참여연구자
발행기관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공개여부 공개
출판일 2005-12 등록일 2006.04.07
페이지 0 분류기호 05-18-03
언어 한국어 판매여부 판매
판매가격 7000 보고서유형
ISBN 표준분류
연구유형 자료유형
국문요약 13

제1장 서 론 19

1. 연구의 목적 19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20

제2장 의료인과 환자간 갈등의 원인과 실태 23

제1절 의료갈등의 발생원인 23
1. 의료본질적 요인 24
2. 의료주체적 요인 25
3. 진료상황적 요인 25
4. 의료제도적 요인 26
제2절 의료갈등의 증가요인 26
1. 사회제도적 요인 26
가. 수진기회의 확대 26
나. 의학상식에 대한 각종 정보제공의 증가 27
다. 의사와 환자간 관계의 변화 27
라. 언론매체의 영향 28
마. 갈등해결을 위한 제도적 장치의 미비 29
바. 사회적 보상제도의 미비 29
사. 의료제도상의 모순 30
2. 의료이용자측 요인 31
가. 의료의 본질에 대한 이해부족 31
나. 권리의식의 신장 32
다. 기대수준의 향상 33
3. 의료공급자측 요인 34
가. 의료기관의 영리 추구 및 대형화 34
나. 의사의 법률 및 법의식에 대한 이해 부족 35
제3절 의료갈등의 실태 36
1. 의료사고, 의료갈등의 추정 36
2. 의료소송의 실태 37
3. 소비자보호원의 분쟁처리 실태 41

제3장 의료갈등 일반론 47

제1절 의료인과 환자의 관계 47
1. 의료인-환자 관계의 기초 47
2. 의료계약 50
가. 의료계약의 법적 성질 50
나. 내용 51
1) 의사의 의무 51
2) 환자의 의무 52
3. 의사의 재량 53
4. 의료사고, 의료분쟁 및 의료과오의 개념 54
제2절 의료갈등과 의사의 책임 58
1. 의료의 질과 의사책임의 관련성 58
2. 의사(醫師)책임의 성립요건 60
가. 의료행위 60
나. 행위불법과 과실 64
다. 의사책임의 근거로서의 주의의무 66
1) 주의의무의 내용 67
2) 주의의무 위반의 판단기준 72
3) 주의의무의 한계에 관한 이론 76
라. 손해발생과 인과관계 77
1) 손해의 발생 77
2) 인과관계 78
제3절 의사책임의 입증책임론 79

제4장 갈등해소방안에 관한 비교법적 검토 81

제1절 서 론 81
제2절 미 국 82
1. 의료과오소송의 일반론 83
가. 과실책임의 법리 83
나. 주의의무의 기준 84
1) 일반적인 기준 84
2) 존중할 만한 소수의 법칙(Respectable Minority Rule) 86
3) 학파 및 지역 법칙(School And Locality Rules) 87
다. 손해배상의 범위 88
2. 소송외적 구제제도 90
가. 사전심사제도(Screening Panel) 90
나. 조정제도(Mediation Panel) 93
다. 중재제도(Arbitration Panel) 95
라. 기타의 제도 98
1) 의사배상책임보험 98
2) 미국의 사회의 의료사고피해배상제도 개혁안 101
제3절 영 국 102
1. 민사책임 법리 102
2. 소송외적 구제제도 104
제4절 독 일 105
1. 의료과오소송의 일반적 법리 105
2. 소송외적 구제제도 107
제5절 일 본 110
1. 일본의사회의 의사배상책임보험 111
가. 개 관 111
나. 갈등처리절차 112
2. 민사조정제도 113
3. 화해제도 114

제5장 소송을 통한 의료갈등 해결방안 117

제1절 의료소송의 현안 117
제2절 소송진행방식의 개선 118
1. 새로운 민사사건 관리방식 개요 118
2. 서면에 의한 쟁점정리절차 120
가. 소장의 접수 120
나. 기일 전 증거조사 121
다. 진료경위서의 제출권고 121
3. 주장․입증책임과 석명권(釋明權) 122
가. 석명권의 행사 122
나. 피고측의 협력의무 123
4. 증인의 신청 124
가. 증인신청 124
나. 증인신문의 방식 125
5. 이행의 강제 126
제3절 입증책임의 완화 127
1. 우리나라에서의 증명책임분배의 일반적 원칙 128
2. 의료과오소송에서의 일반적 증명책임분배원칙에 대한 예외 128
가. 증명의 완화를 위해 활용되고 있는 여러 가지 방법론 129
나. 과실의 증명 130
다. 과실 및 인과관계의 선택적 추정 131
라. 대법원의 태도 133
3. 진료기록의 문제 135
가. 진료기록부의 의의 및 가치 135
나. 의료소송에서 진료기록부의 활용 135
다. 진료기록의 불기재 및 부존재 137
4. 증명(입증)방해의 문제 137
제4절 소 결 140

제6장 소송 이외의 의료갈등 해소방안 143

제1절 조정제도 등의 활성화 방안 143
1. 민사조정법에 의한 의료분쟁조정제도 144
가. 내 용 144
1) 조정의 신청 144
2) 조정기관 145
3) 조정절차 146
4) 조정의 성립 및 효력 148
5) 소송에의 이행 149
나. 성 과 150
다. 문제점 150
2. 의료법상 의료분쟁조정제도 151
3. 조정제도 활성화를 위한 제언 153
제2절 소비자보호원에 의한 해결방안 155
1. 소비자보호법에 의한 의료분쟁조정제도 155
2. 조정절차 및 조정기관 158
가. 조정절차 158
나. 소비자분쟁조정위원회의 기능 및 구성 159
3. 소비자보호원의 조정상황 159
4. 소비자보호원의 역할 증대방안 160
가. 독립된 감정기관의 설치 160
나. 지방소비자보호조정제도의 활성화 160
다. 유관기관과의 업무 연계 161
라. 객관적인 통계의 체계적인 관리 161
5. 소비자보호법의 개정 162
제3절 의료배상책임보험제도와 공제회 163
1. 의료배상책임보험 163
가. 의료배상책임보험 활용의 필요성 163
나. 의료배상책임보험의 연혁 164
다. 의료배상책임보험의 운영실태 164
라. 의료배상책임보험의 전망 166
2. 대한의사협회 공제회 168
제4절 무과실손해보상제도 170
1. 무과실보상제도의 의의 170
2. 무과실 의료사고의 실태 171
가. 무과실 의료사고의 실태조사 171
나. 무과실로 인한 보상금 지불 조사 172
3. 무과실보상제도의 내용 173
가. 기본적인 방향 173
나. 의료분쟁조정법안의 내용 174
4. 도입에 관한 찬반 양론의 검토 176
가. 도입 찬성론 176
나. 도입 반대론 179
5. 무과실보상제도의 도입방안 184

제7장 결 론 187

참고문헌 191

영문요약 199

첨부파일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