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메뉴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학교폭력 대응방안으로서 회복적 소년사법 실험연구

  • 작성일2007.01.24
  • 조회수1,481

학교폭력 대응방안으로서 회복적 소년사법 실험연구

좌우로 스크롤 하시면 표의 전체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

연구책임자, 소속기관,내부연구참여자,외부참여연구자,발행기관,공개여부,출판일,등록일,페이지,분류기호,언어,판매여부,판매가격,보고서유형,ISBN,표준분류,연구유형,자료유형
연구책임자 김은경 소속기관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내부연구참여자 김은경 외 1인 외부참여연구자
발행기관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공개여부 공개
출판일 2006-12 등록일 2007.01.24
페이지 0 분류기호 06-36
언어 한국어 판매여부 판매중지
판매가격 7000 보고서유형
ISBN 표준분류
연구유형 자료유형
국문요약 17

제1장 서 론 33

제1절 연구배경 및 목적 33
제2절 연구내용과 범위 35
1. 주요 연구내용 35
2. 연구방법 37
가. 문헌연구 및 기초통계 재분석 37
나. 조사연구 38

제2장 학교폭력 대응정책의 현황과 문제점 39

제1절 학교폭력의 발생과 처리실태 39
1. 학교폭력의 발생실태 39
가. 피해조사 결과 39
2. 학교폭력에 관한 단속의 현황 42
가. 경찰의 단속현황 43
나. 학교폭력 피해신고 및 자진신고 기간의 운영현황 45
다. 학교폭력에 대한 징계 등 조치현황 51
라. 학교폭력 분쟁조정 현황 53
3. 소년범죄의 발생 및 처리경향 진단 54
가. 소년범죄의 발생 추이 54
나. 검찰의 소년범 처리경향 56
다. 법원의 소년사건 처리 58
제2절 정부의 학교폭력 대응정책 및 법제도 현황 60
1. 소년사법의 대응체계 61
가. 경찰과 검찰의 소년범 처리절차 개관 61
나. 검찰의 다이버전(Diversion) 프로그램 62
다. 경찰의 다이버전 프로그램 66
2. 학교폭력예방법 및 학교폭력 예방정책의 주요 내용 69
가. 학교폭력예방법 제정 이전의 논의 69
나. 학교폭력예방법의 주요 내용 73
다. 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 5개년 기본계획 76
제3절 학교폭력 대응정책의 문제점 80
1. 정책경향의 특징 81
2. 자치위원회 제도의 문제점 82
가. 위원회 방식의 문제 82
나. 비공식적 사건 처리의 관행 84
3. 피해학생의 보호에 있어서의 문제점 86
가. 학교폭력예방법 상의 피해학생 보호조치의 문제점 86
나. 피해학생의 욕구(need)에 대한 반응시스템의 결여 88
4. 가해학생의 처리과정 91
5. 분쟁조정․갈등해결의 시스템 결여 94
가. 민간단체의 중재상담에 대하여 94
나. 자치위원회의 분쟁조정기능에 대하여 97

제3장 사법서비스 욕구조사 101

제1절 조사방법 101
1. 조사대상 101
가. 교사 집단 101
나. 피해학생 및 그 부모 102
다. 가해학생 및 그 부모 103
2. 조사항목 및 내용 107
제2절 주요 조사결과 109
1. 학교폭력 현상에 대한 이해와 관점 109
가. 학교폭력에 대한 관점차이 109
나. 학교폭력의 책임소재 111
다. 학교폭력 해결주체 112
라. 현행 학교의 위기개입 능력 113
마. 학교폭력의 새로운 법제도․절차 인식여부 114
2. 새로운 법시행 이후, 학교에서의 폭력사안 처리현황과 실제 115
가. 최근 2년내 자치위원회 개최여부 116
나. 학교폭력 처리절차규정 및 실행지침 구비여부 117
다. 새로운 학교폭력법 이해할 기회 118
라. 자치위원회 이해의 정도 119
마. 최근 2년간 학교폭력 관련 조치들 119
바. 학교폭력 사안처리시 학교에서 주력하는 조치들 121
사. 교사입장에서 사건개입시의 어려움 121
아. 합리적 해결절차 마련을 위한 학교의 노력 정도 124
3. 피해자 및 가해자 입장에서 경험한 학교폭력의 실제와 욕구 125
가. 피해자의 경험에 나타난 학교폭력 125
나. 가해자 경험에 나타난 학교폭력 128
다. 피해자 및 가해자의 사건처리 경험에 나타난 실제 131
라. 각 집단별 원하는 학교폭력 문제해결방식 134
4. 학교폭력대책법 및 실행제도에 대한 평가 138
가. 자치위원회 등 폭력사건 관련회의 참여경험에 대한 평가 138
나. 학교폭력법에 의한 피해자-가해자 분쟁조정 권한 인식 141
다. 자치위원회 제도절차의 유용성에 대한 평가 142
라. 최근 2년 이내 실제 활용한 조치의 효과성 정도 144
마. 제도 및 절차의 개선점 147
5. 학교처리절차의 경험과 사법욕구(Justice Needs) 148
가. 집단별 학교처리절차에 대한 정보 및 참여의 욕구 149
나. 집단별 학교처리과정에 대한 만족도 151
다. 학교처리방식에 대한 피해자 및 가해자의 느낌과 정서반응 154
6. 사법절차의 경험과 사법욕구(Justice Needs) 158
가. 집단별 사법기관 접촉경험 및 신고후 괴롭힘 여부 158
나. 집단별 경찰의 사건처리과정에 대한 만족도 159
다. 집단별 사법처리절차에 대한 정보 및 참여의 욕구 161
라. 사법절차의 처리방식에 대한 피해자 및 가해자의
느낌과 정서반응 164
제3절 정책 시사점 169

제4장 새로운 대응방안으로서 회복적 사법 173

제1절 회복적 사법의 개념과 원리 173
1. 개 념 173
2. 회복적 사법 대 응보적 사법 174
3. 회복적 사법실천의 목표와 전제조건 176
제2절 모델들 개관 177
1. 조정 모델(Mediation Model) 178
2. 회합 모델(Conferencing Model) 179
3. 써클 모델(Circle Model) 181
제3절 외국의 적용 입법례 182
1. 캐나다 소년사법(YCJA)에서의 회합 182
2. 뉴질랜드의 회복적 사법과 가족회합(FGC) 186
3. 영국의 소년사법제도 개혁 191
4. 호주 수도권지역(ACT)의 소년사법제도 개혁 195

제5장 회복적 사법모델에 대한 모의실험 결과 199

제1절 실험모형 설계과정 개관 199
1. 제도적․실천적 한계와 방법론 수정의 불가피성 199
2. 연구수행을 위한 도전 과제들에 대한 재검토 202
가. 연구방법 202
나. 실험모델의 선택 203
다. Facilitator 역할 담당자의 확보 203
3. 본 연구의 가족회합(Family Conferencing) 모델의 개관 204
가. 가족회합(FC)의 목적과 핵심 요소 204
나. 회합의 핵심 원칙 206
다. 사건위탁 절차과정의 설계 : 회합에 위탁되는 두 가지 경로 208
라. 학교폭력 가족회합 프로그램의 전체구성과 단계 209
제2절 모의실험 실행과정과 절차 213
1. 모의실험의 실시 213
가. 본 회합 모의실험의 성격과 중심의제 213
나. 사전준비 214
다. 모의실험 실행 215
2. 모의실험을 위한 역할극 시나리오 구성작업 216
3. 모의실험 진행절차 224
제3절 과정 참여자들의 경험과 느낌 230
1. 모의 회합과정에 대한 총평 230
2. 사례별 공간 배치 231
3. 사례별 회합에서 참여자가 느낀 문제점과 한계 234
가. 사례 A(윤하영/한수정 사례) 234
나. 사례 B(구태희/김훈식 사례) 236
다. 사례 C(이진욱/김병태 사례) 237
라. 사례 D(문세란/이지혜 사례) 238
제4절 회합과정에 대한 종합평가와 쟁점정리 239
1. 사례별 검토 및 쟁점들 239
가. 사례 A의 단계별 문제점 239
나. 사례 B의 단계별 문제점 241
다. 사례 C의 단계별 문제점 244
라. 사례 D의 단계별 문제점 247
2. 역할당사자별 욕구와 관련 쟁점들 248
가. 학생들 248
나. 부 모 249
다. 조정자 251
3. 조정담화 및 합의과정에서 드러난 문제점 252
4. 회합과정을 촉진하거나 방해하는 요소에 대한 검토 255

제6장 한국형 회복적 사법 모델의 이론과 실천방향 263

제1절 새로운 학교폭력 대응모델의 원칙과 철학 263
1. 학교폭력에 대한 새로운 대응모델로서 회복적 사법의
가치와 위상 263
2. 학교폭력에 대한 회복적 사법 개입의 철학 268
3. 회복적 사법 원리에 기초한 학교폭력 대응정책 273
가. 학교폭력에 대한 다층위 개입정책 273
나. 회복적 원리에 기초한 공동체형성 개입정책 275
제2절 학교폭력 개입정책으로서 회복적 사법 프로그램의 설계 278
1. 회합 프로그램의 적합성 278
가. 회복적 사법 프로그램의 다양성과 모델별 이념의 차이 278
나. 학교폭력 개입정책으로 회합모델의 적합성 280
2. 회합모델의 구성과 범위 281
가. 참석자의 범위 281
나. 회합의 조정자와 조정기관 284
다. 회합에서 다룰 수 있는 학교폭력사건의 범위와 유형 286
라. 회합 프로그램 진행과 남은 과제들 290
3. 회합모델의 투입체계 294
가. 학교에서의 회합모델 적용 295
나. 소년사법체계와 회합모델의 결합 301
제3절 관련법 제도의 정비와 보완 314
1. 학교에서의 회복적 사법 실천을 위한 법적 근거 마련 314
2. 소년법의 개정 및 보완 316
가. 회복적 사법의 근거 마련 316
나. 회합에 따른 경찰다이버전의 법적 근거와 범위 317
제4절 회복적 사법의 실천을 위한 공공지원체계의 마련 320
1. 조정자 양성 및 회복적 사법 실천을 매개하는
전문기관의 육성과 지원 320
2. 회복기금의 조성 322

참고문헌 323

영문요약 351

부록 : 설문지 355

부록 : 모의실험을 위한 역할극 Scenarios 429

부록 : 모의실험과정의 평가서들 461

첨부파일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