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메뉴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형사정책과 사법개혁에 관한 조사, 연구 및 평가(1)-일본의 사법개혁 동향

  • 작성일2007.12.14
  • 조회수872

형사정책과 사법개혁에 관한 조사, 연구 및 평가(1)-일본의 사법개혁 동향

좌우로 스크롤 하시면 표의 전체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

연구책임자, 소속기관,내부연구참여자,외부참여연구자,발행기관,공개여부,출판일,등록일,페이지,분류기호,언어,판매여부,판매가격,보고서유형,ISBN,표준분류,연구유형,자료유형
연구책임자 정진수 소속기관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내부연구참여자 정진수 외 4인 외부참여연구자
발행기관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공개여부 공개
출판일 2007-12 등록일 2007.12.14
페이지 0 분류기호 07-09-04
언어 한국어 판매여부 판매
판매가격 7000 보고서유형
ISBN 표준분류
연구유형 자료유형
국문초록 13

제1장 서 론 17
Ⅰ. 연구의 목적과 의의 17
Ⅱ. 연구의 방법과 내용 18

제2장 사법에 대한 비판론과 사법개혁 추진경과 21
Ⅰ. 일본 사법에 대한 비판론 21
1. 작은 사법 21
2. 관료사법 25
3. 국민의 사법참가의 결여 27
Ⅱ. 재계와 자민당의 사법개혁 요구 27
1. 재계 27
2. 자민당 29
Ⅲ. 일본 정부의 사법개혁 30
1. 사법제도개혁심의회 30
2. 사법제도개혁추진본부 31
Ⅳ. 사법개혁 추진과정에서 일변련의 역할 33
1. 1990년대 33
가. 「사법개혁선언」 33
나. 「사법개혁비젼」 34
다. 「사법개혁실현을 향한 기본적 제언」 35
2. 2000년 이후 36
가. 변호사인구의 증가 결의 36
나. 「시민의 사법을 목표로 한 일변련의 추진의 기본방침」 37
다. 「일변련사법개혁종합추진회의」등의 설치 38
Ⅴ. 결어 39

제3장 국민의 사법참여로서의 재판원 제도 41
Ⅰ. 서언 41
Ⅱ. 제도 도입에 이르기까지의 경위 43
Ⅲ. 재판원제도의 개요 46
1. 대상사건과 합의체의 구성 46
2. 재판원의 권한과 평의 및 평결 49
3. 재판원의 선임절차 51
4. 결격사유 등 53
5. 재판원의 사퇴 54
6. 재판원의 수비의무(守秘義務) 55
7. 기타 57
Ⅳ. 재판원이 참가하는 재판의 절차 58
1. 개요 58
2. 종래의 형사절차의 현실과 재판원제도에 의한 형사절차의 변화 59
3. 공판전정리절차와 공판절차 60
가. 재판원사건의 경우에 있어서의 검토과제 61
나. 직접주의․구두주의가 철저한 공판 62
다. 판결 64
라. 상소 64
마. 환송심 65
Ⅴ. 재판원제도 실시까지의 과제 65
Ⅵ. 결어 68
제4장 일본의 새로운 법조인 양성제도 69
Ⅰ. 서언 69
Ⅱ. 법과대학원의 의의 및 필요성 70
1. 의의 70
2. 필요성 71
가. 사법기능의 강화 71
나. 법조의 양과 질의 확충 72
3. 법과대학원 현황 74
Ⅲ. 법조양성제도의 개혁에 이르기까지의 경위 75
1. 임시사법제도조사회 75
2. 법조기본문제간담회 76
3. 법조3자협의회 77
4. 법조양성제도등개혁협의회 79
5. 법조3자의 합의 81
6. 사법제도개혁심의회 82
7. 사법제도개혁 추진체제 구성 84
8. 법조양성관련법안의 성립 86
가. 2002년 임시국회(제155회 국회) 86
나. 2003년 통상 국회(제156회 국회) 88
다. 2004년 임시국회(제161회 국회) 88
라. 관계법령 88
Ⅳ. 법과대학원 90
1. 법과대학원의 정의 90
2. 표준수업연한 및 수료요건 91
3. 입학자 선발 92
4. 교육내용 및 교육방법 93
5. 엄격한 성적평가 및 수료인정 95
6. 교원 96
7. 학위 97
8. 제3자 평가(인증평가) 97
9. 재정지원 98
Ⅴ. 신사법시험 99
1. 사법시험의 목적 등 99
2. 시험방법 100
3. 시험과목 등 101
4. 시험자격 및 수험회수제한 103
5. 사법시험예비시험 104
6. 사법시험위원회 105
7. 합격자의 결정 등 106
8. 구사법시험의 실시 107
Ⅵ. 신사법수습 108
Ⅶ. 과제와 전망 110

제5장 재판관제도의 개혁 113
Ⅰ. 재판관제도 개혁의 경과 113
Ⅱ. 전후 사법을 둘러싼 상황의 변천 115
1. 임시사법제도조사회 의견서 115
2. 사법의 위기 116
3. 재판관에 대한 정책의 변화 117
가. 재판관회의의 형해화 117
나. 최고재판소 사무총국으로의 권한집중 117
다. 임지․급여차별, 승격차별문제 118
Ⅲ. 재판관 급원의 다양화, 다원화 119
1. 재판관 급원의 다양화, 다원화의 의의 119
2. 변호사임관제도 120
3. 비상근 재판관제도 121
4. 판사보 및 검사의 변호사직무경험제도 124
Ⅳ. 하급재판소 재판관 지명자문위원회 제도 126
1. 위원회제도의 개요 126
2. 위원회제도의 의의 127
가. 국민참가에 의한 지명과정 투명화 127
나. 부당한 신․재임거부의 곤란화 128
다. 재판관 질의 확보 128
라. 재판관 인사평가제도의 투명화 효과 128
마. 외부정보에 의한 국민의사의 반영 129
3. 위원회의 심의상황 129
4. 위원회 운영상의 과제 130
가. 중앙위원회 130
나. 지역위원회 131
Ⅴ. 재판관의 인사평가제도 132
1. 종래의 재판관 인사평가시스템 132
2. 새로운 재판관 인사평가제도의 제정경위 133
가. 외부정보의 반영 135
나. 면담시스템 136
다. 평가서 공개제도 136
라. 불복신청제도 136
4. 향후의 과제 137
Ⅵ. 지방재판소위원회 및 가정재판소위원회 제도 138
1. 재판소위원회의 의의 138
2. 개혁의 관점 139
가. 시민위원의 선임과정에서 공모제 활용 140
나. 위원장 선임 140
다. 의사공개 141
라. 개최회수 141
마. 위원의 의제제출권 141
바. 지역 여론 수렴 142

제6장 법률서비스 확대 143
Ⅰ. 서 언 143
Ⅱ. 종합법률지원법 144
1. 개요 144
2. 목적 145
3. 종합법률지원 주체의 책무 145
가. 국가의 책무 145
나. 지방자치단체의 책무 145
다. 일본변호사연합회등의 책무 146
4. 종합법률지원법의 특성 146
Ⅲ. 일본사법지원센터의 개요 147
1. 목적 및 형태 147
2. 설립 147
3. 사무소의 설치 148
4. 조직 및 평가기관 149
Ⅳ. 일본사법지원센터의 업무 150
1. 정보제공의 충실강화 업무 150
2. 민사법률부조업무 150
3. 국선변호인의 선임에 관한 업무 152
4. 사법과소지역 등에서 법률사무에 관한 업무 154
5. 범죄피해자 등의 지원업무 155
6. 그 외 활동 156
가. 관계기관․단체와의 연계활동 및 강화 156
나. 위탁 받은 업무 157
다. 사법지원센터의 의무 등 158
Ⅴ. 결어 158

제7장 변호사 제도의 개혁 161
Ⅰ. 서언 161
Ⅱ. 변호사제도 개혁의 흐름 162
Ⅲ. 변호사 제도 개혁의 내용 163
1. 「변호사 직무기본규정」 163
2. 징계제도 163
가. 징계제도의 개요 163
나. 징계절차 164
3. 당번변호사 제도 활성화 168
4. 변호사 편재 해소 노력 169
가. 공설사무소 170
나. 협력사무소 171
다. 정착지원 171
Ⅳ. 결어 172

주요 참고문헌 175
영문요약 177

첨부파일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