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메뉴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부패사범 통제체계의 실효성 평가연구

  • 작성일2007.12.14
  • 조회수1,130

부패사범 통제체계의 실효성 평가연구

좌우로 스크롤 하시면 표의 전체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

연구책임자, 소속기관,내부연구참여자,외부참여연구자,발행기관,공개여부,출판일,등록일,페이지,분류기호,언어,판매여부,판매가격,보고서유형,ISBN,표준분류,연구유형,자료유형
연구책임자 연성진 소속기관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내부연구참여자 연성진 외 4인 외부참여연구자
발행기관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공개여부 공개
출판일 2007-12 등록일 2007.12.14
페이지 0 분류기호 07-08-01
언어 한국어 판매여부 판매
판매가격 9000 보고서유형
ISBN 표준분류
연구유형 자료유형
국문요약 21

제1장 서 론 37
제1절 문제의 제기 37
제2절 연구의 목적 및 범위 40

제2장 부패의 개념·유형 및 구조 43
제1절 부패의 개념 43
1. 부패개념의 불명확성 43
2. 부패의 포괄범위 44
가. 문제제기 44
나. 부패행위의 주체와 행위의 성격 46
1) 모든 이의 반사회적 배덕(背德)행위 46
2) 공무원 및 사조직 구성원의 직무상 의무위반 46
3) 공직자의 직무상 의무위반 47
3. 부패의 개념요소 49
가. 주체 : 공직자 49
1) 공직개념의 다의성 49
2) 공무원(부패방지법 제2조제1호가목) 49
3) 법률에 의하여 그 자격ㆍ임용ㆍ교육훈련ㆍ복무ㆍ보수ㆍ
신분보장 등에 있어서 공무원으로 인정된 자(부패방지법
제2조제2호가목) 50
4) 공직자윤리법 제3조 제1항 제10, 11호의 공직유관단체
임직원 51
5) 형벌법규의 적용에 있어서 공무원으로 의제되는 자 51
6) 법령에 의하여 직무에 관한 금품수수가 금지되지만
공직자가 아닌 경우 53
나. 행위 : 직무의무에 반한 사익추구 또는 공익침해 54
1) 직무의무에 반한 사익추구 54
2) 직무의무에 반한 공익침해 57
3) 부패행위 또는 그 은폐의 강요ㆍ권고ㆍ제의 또는 유인 57
제2절 부패의 유형 58
1. 유형분류의 목적과 전제 58
가. 목 적 58
나. 전 제 59
2. 공직부패의 유형 60
가. 주체에 따른 분류 60
1) 정치부패 60
2) 행정부패 61
3) 기타 공직자 부패 61
4) 구별의 실익 61
나. 행위형태에 의한 분류 61
1) 편면적(일방적) 부패 61
2) 대향적(쌍방적) 부패 62
3) 구별의 실익 63
다. 부패개입의 규모에 의한 분류 63
1) 개인 부패 63
2) 조직 부패 63
3) 체제 부패 64
4) 구별의 실익 64
라. 기타 분류 65
제3절 부패의 구조 66
1. 구조분석의 의의와 목적 66
가. 의 의 66
나. 목 적 67
2. 부패의 구조분석 67
가. 개인부패의 순환구조 67
1) 일반적 특성 67
2) 내적 순환구조 68
3) 외적 순환구조 68
나. 조직부패의 순환구조 69
1) 일반적 특성 69
2) 내적 순환구조 70
3) 외적 순환구조 71
다. 체제부패의 순환구조 72
1) 양 상 72
2) 통제의 어려움 73
3) 파급효과 73
3. 구조적 부패의 특성 74
가. 구조적 부패의 일반적 양상 74
1) 부패관계의 순환 74
2) 확장적 순환구조 75
3) 입체적 순환구조 75
나. 구조적 부패의 속성 76

제3장 역대정권의 부패 통제 활동 79
제1절 제1·2공화국(1948~1961) 79
1. 기구적 통제 79
가. 심계원 79
나. 감찰위원회 80
다. 사정위원회 80
2. 법·제도적 통제 81
가. 국가공무원법 81
나. 부정선거관련자처벌법 82
다. 그 외의 통제정책 83
3. 부패통제에 대한 평가 83
제2절 제3공화국(1962~1971) 84
1. 기구적 통제 85
가. 감사원 85
나. 행정개혁조사위원회 85
2. 법·제도적 통제 86
가. 국가재건비상조치법 86
나. 부정축재처리법 86
다. 국가공무원법과 그 외의 통제정책 87
3. 반부패정책에 대한 평가 88
제3절 제4공화국(1975~1979) 89
1. 서정쇄신운동 89
가. 서정쇄신운동의 의의 89
나. 서정쇄신운동의 3대 행동과제 90
다. 서정쇄신운동에 대한 평가 91
2. 기구적 통제 91
가. 총괄기구 91
나. 협력기구 및 임시기구 91
3. 법·제도적 통제 92
가. 대민관계행정법령정비작업 92
나. 자체감사 92
다. 숙정작업 92
라. 계열연대책임제 93
마. 그 외의 반부패 정책 93
4. 반부패정책에 대한 평가 93
제4절 제5공화국(1980~1987) 95
1. 사회정화운동 96
가. 사회정화운동의 의미 96
나. 사회정화운동의 내용 97
다. 사회정화운동의 평가 99
2. 기구적 통제 100
가. 국가보위비상대책상임위원회 100
나. 사회정화위원회 100
다. 현대사회연구소 100
3. 법·제도적 통제 101
4. 반부패정책에 대한 평가 101
제5절 제6공화국(1988~1992) 103
1. 새질서, 새생활 운동 104
가. ‘새질서, 새생활 운동’의 의미 104
나. ‘새질서, 새생활 운동’에 대한 평가 105
2. 기구적 통제 105
3. 법·제도적 통제 106
가. 공직부조리 제거시책 106
나. 교화적인 통제 107
다. 토지 공 개념 108
4. 반부패정책에 대한 평가 109
제6절 김영삼정부(1993~1997) 110
1. 윗물맑기운동 111
2. 기구적 통제 112
가. 정부에 의한 통제 112
1) 부정방지대책위원회 112
2) 행정쇄신위원회 113
3) 대검찰청 내 부정부패사범 특별수사본부 113
4) 그 외의 특별 기구 114
나. 시민단체에 의한 통제 115
1)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 115
2) 참여연대 115
3) 부정부패추방시민연합 115
4) YMCA 116
5) 행정개혁시민연합 116
3. 법·제도적 통제 116
가. 공직자윤리법 개정 116
나. 공직선거 및 선거부정방지법 118
다. 공무원범죄에관한몰수특례법 118
라. 그 외 법적 통제 119
4. 반부패정책에 대한 평가 119
제7절 김대중정부(1998~2002) 121
1. 기구적 통제 122
가. 반부패특별위원회 122
나. 부패방지위원회 123
2. 법·제도적 통제(부패방지법을 중심으로) 124
가. 부패방지법 제정경위 124
나. 부패방지법의 주요 내용 125
1) 부패방지법의 목적 125
2) 부패방지법의 규제대상 범위 125
3) 공직자, 공공기관, 정당의 책무 126
4) 기업과 국민의 의무 127
5) 공무원행동강령의 제정 128
6) 부패방지위원회 129
7) 부패행위 신고자 등의 보호(내부고발자 보호제도) 132
8) 신고자를 위한 보상금제도 132
9) 국민감사청구제도 133
10) 비위면직 공직자의 취업제한 134
3. 반부패정책에 대한 평가 134
제8절 노무현정부(2003~현재) 136
1.기구적 통제 137
가. 부패방지위원회를 통한 정부 정책 137
1) 원칙과 신뢰의 확보를 위한 부패방지 정책 137
2) 투명성과 공정성을 지향하는 부패방지 정책 138
나. 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회를 통한 정부정책 139
1) 투명한 행정을 위한 부패방지관련 정책 139
2) 깨끗한 행정을 위한 부패방지관련 정책 140
다. 반부패관계기관협의회 구성 141
라. 부패방지 정책자문단 운영 142
2. 법·제도적 통제(부패방지법의 개정) 143
가. 부패방지법 개정 경위 143
나. 부패방지법 개정 내용 144
1) 부패방지위원회 명칭 변경 144
2) 국가청렴위원회의 기능 일부 강화 144
3) 부패행위 개념 확대 145
4) 부패행위 신고자에 대한 신분보장 및 신변보호 확충 145
5) 보상 지급요건 완화 및 포상금 지급규정 신설 147
6) 벌칙 조항 추가 신설 및 삭제 148
3. 반부패정책에 대한 평가 149

제4장 우리나라 부패사범 통제를 위한 법제와 통제 실태 151
제1절 부패통제를 위한 법제 151
1. 비형사적(행정적) 규제 152
가. 공직자윤리법 152
1) 의 의 152
2) 주요내용 154
3) 한 계 158
나. 부패방지법 160
1) 제정배경 160
2) 내 용 160
3) 공무원행동강령 161
4) 벌칙(제6장) 163
5) 한 계 164
2. 형사적 규제(뇌물죄를 중심으로) 165
가. 형사적 규제의 의의 165
나. 뇌물죄 167
1) 보호법익 167
2) 수뢰죄와 증뢰죄의 경중 168
3) 구성요건의 체계 169
4) 수뢰죄(제129조제1항) 172
다. 기타의 형법상 뇌물죄 유형 195
1) 뇌물공여죄(제133조제1항) 195
2) 사전수뢰죄(제129조제2항) 195
3) 제3자뇌물제공죄(제130조) 196
4) 수뢰후 부정처사죄(제131조제1항) 196
5) 사후수뢰죄(제131조제2항, 제3항) 197
6) 알선수뢰죄(제132조) 197
7) 증뇌물전달죄(제133조제2항) 198
라. 뇌물죄에 관한 특별형벌법규 198
1) 특정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198
2) 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199
3) 기타 특별형법상의 뇌물죄 201
4) 국제상거래에 있어서 외국 공무원에 대한 뇌물방지법 201
마. 뇌물죄 해석상의 문제점 203
1) 처벌법규의 혼란 203
2) 뇌물개념의 불명확성 203
3. 부정수익의 박탈을 통한 사후적 규제 204
가. 범죄수익의 박탈 204
1) 형법 제134조 204
2) 공무원범죄에 관한 몰수특례법 204
3) 범죄수익은닉의 규제 및 처벌 등에 관한 법률 등 205
나. 금융실명거래 및 비밀보장에 관한 법률 206
1) 입법경위 206
2) 주요내용 207
3) 한 계 208
다. 조세제도 209
1) 조세제도와 뇌물규제 209
2) 조세범처벌법 209
3) 한 계 210
제2절 부패통제기관과 역할 211
1. 문제제기 211
가. 부패통제기관의 의의 211
나. 공조직 내부의 자체감사기능 213
2. 부패통제 기관 213
가. 감사원 213
1) 조직과 운영 213
2) 감사결과 처리현황 214
3) 기능의 한계 215
나. 국가청렴위원회 216
1) 설치근거와 구성 216
2) 기능 및 활동상황 217
다. 검찰과 법원 219
1) 검 찰 220
2) 법 원 222
3) 문제점 223
제3절 공직부패의 현황 및 실태 225
1. 분석대상 행위별 정의 225
가. 직무유기 226
나. 직권남용 226
다. 수뢰 및 증뢰 226
라 공금유용․횡령 227
마. 배 임 227
2. 연구방법 228
가. 일반적인 부패 측정방법 228
나. 본 연구의 부패 측정방법 230
3. 범죄행위 유형별 실태 230
4. 공직부패 발생 분야별 실태 233
5. 공무원구분, 직급 및 기관별 공직부패 실태 236
가. 공무원 구분별 236
나. 직군․직급별 236
다. 기관별 239
라. 원인별 241
6. 공무원 범죄의 적발과 처벌 243
가. 공무원 범죄의 적발 243
나. 공무원 범죄의 처벌 245
1) 기소율 245
2) 처벌의 수준 247
3) 고위공무원 범죄 추세와 처벌 253
7. 우리나라 부패방지 통제체계의 특징 및 문제점 254
가. 부패통제체계의 특징 255
나. 부패통제체계의 문제점 255
제5장 외국의 반부패 시스템 257
제1절 미 국 257
1. 미국 반부패의 특징 257
2. 미국의 반부패관련법들 259
3. 미국의 부패방지기구들 262
가. USAID: United States Agency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263
나. 국제마약 및 법집행국(Bureau of International Narcotics and
Law Enforcement Affairs) 264
다. FBI 및 기타 265
제2절 호 주 267
1. 호주의 부패방지법 267
2. 호주 뉴사우스웨일즈 부패방지청(NSW ICAC) 269
가. 조직 및 현황 269
나. 부패방지청과 유관기관 협력체계 270
다. 부패방지청의 국제협력 동향과 시사점 271
3. 호주와 우리나라와의 비교 272
제3절 싱가포르 273
1. 싱가포르의 부패방지법 274
2. 싱가포르의 탐오조사국(CPIB) 276
가. 조직 및 현황 276
나. 탐오조사국과 수사기관 및 NGO 협력체계 279
다. 탐오조사국의 국제협력 동향과 시사점 279
3. 싱가포르와 우리나라와의 비교 280
제4절 홍 콩 281
1. 홍콩의 부패방지법 282
2. 홍콩의 염정공서(ICAC) 284
가. 조직 및 현황 284
나. 염정공서와 수사기관 및 NGO 협력체계 288
다. 염정공서의 국제협력 동향 289
3. 홍콩과 우리나라의 비교 289

제6장 부패통제체계와 반부패 거버넌스: 반부패 연대형성,
사회협약 및 부패방지체계 291
제1절 부정부패의 국제화 지표: 부패지수와 모니터링 시스템 291
1. 국제부패지수 292
2. 반부패 모니터링 시스템 지표 299
제2절 반부패 통제체계의 국제비교 302
1. 반부패 통제체계의 국제화 지표분석 302
2. 반부패 부문별 수단과 반부패 제도화 306
제3절 우리나라의 반부패 거버넌스의 평가 308
1. 반부패 거버넌스의 역사적 배경과 과정 308
2. 반부패 연대형성, 투명사회협약 및 부패방지체계의 특성 314
3. 반부패 투명사회협약의 실효성 분석과 과제 316
제4절 외국의 부패방지를 위한 거버넌스 구축 325
1. 핀란드의 부패통제 거버넌스 326
2. 싱가포르의 부패통제 거버넌스 329

제7장 결 론 333
제1절 부패통제의 기본전략 335
1. 부패의 순환고리 단절 335
2. 부패통제의 방법 337
3. 부패통제의 수단 341
가. 규제기준의 명확성 341
나. 제재의 확실성과 엄격성 342
제2절 한국의 반부패정책에 필요한 개선방안 제언 344
1. 부패방지위원회(現 국가청렴위원회) 345
가. 인원 및 예산의 확대 345
나. 반부패 교육 및 홍보의 확대 346
2. 부패사범에 대한 처벌 강화 347
3. 유관기관간의 업무협력체계 강화 348
4. 정부와 민간기구(NGO)간의 협력체계 강화 349
5. 국제협력 강화의 필요성 350

참고문헌 351

영문요약 361

첨부파일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