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메뉴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수형자의 사회복귀와 처우 연계

  • 작성일2007.12.14
  • 조회수2,129

수형자의 사회복귀와 처우 연계

좌우로 스크롤 하시면 표의 전체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

연구책임자, 소속기관,내부연구참여자,외부참여연구자,발행기관,공개여부,출판일,등록일,페이지,분류기호,언어,판매여부,판매가격,보고서유형,ISBN,표준분류,연구유형,자료유형
연구책임자 최영신 소속기관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내부연구참여자 최영신 외 5인 외부참여연구자
발행기관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공개여부 공개
출판일 2007-12 등록일 2007.12.14
페이지 0 분류기호 07-05
언어 한국어 판매여부 판매
판매가격 9000 보고서유형
ISBN 표준분류
연구유형 자료유형
국문요약 11

제1장 서 론 37
제1절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37
제2절 연구문제 39

제2장 연구방법 및 분석틀 43
제1절 연구방법 43
1. 문헌연구 43
2. 공식통계자료의 분석 44
3. 설문조사 45
4. 심층면접 49
제2절 분석틀 54

제3장 수형자 사회복귀과정의 단계별 처우 실태 61
제1절 수형자의 현황 61
1. 수형인원의 변화 추세 61
2. 재복역률 현황 64
제2절 구금시설 내 단계에서의 처우 실태 67
1. 우리나라의 분류ㆍ누진처우제도 67
2. 일반적 처우 프로그램 69
3. 사회적 처우 프로그램 80
제3절 구조화된 사회복귀 단계에서의 처우 실태 83
1. 석방예정자교육 83
2. 현행 가석방의 실태와 문제점 85
3. 보호관찰 대상자의 결정 93
4. 갱생보호 처우와 출소예정자의 사전면담 97
제4절 지역사회 재통합 단계에서의 처우 실태 100
1. 가석방자의 보호관찰 처우 100
2. 갱생보호 처우 실태 112

제4장 출소예정자의 사회복귀 처우 실태 및 욕구 분석 131
제1절 설문조사 대상자(출소예정자)의 특성 131
1. 2007년도 7월 출소자(가석방 및 형기종료자)와 설문조사
대상자의 특성 비교 131
2. 설문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134
3. 범죄경력 140
제2절 교정시설의 교정교화 프로그램과 사회복귀 준비 상황 144
1. 교정교화 프로그램과 사회복귀와의 관련 144
2. 교도작업 및 직업훈련과 사회복귀 148
3. 출소 준비 교육과 출소 계획 153
제3절 출소 및 사회복귀 상황 157
1. 출소 시의 상황 및 건강상태 157
2. 출소 직후의 거주 계획 및 직업 계획 160
3. 출소와 경제적, 심리적 지지자 164
4. 출소 후 필요한 지원과 걱정되는 문제들 167
제4절 갱생보호 및 보호관찰 처우에 대한 경험과 인식 171
1. 출소예정자의 갱생보호 처우에 대한 경험과 인식 171
2. 출소예정자의 보호관찰 처우에 대한 경험과 인식 177
제5절 소 결 180
1. 출소예정자의 특성 180
2. 교정시설의 교정교화 프로그램과 사회복귀 관련성 181
3. 출소 상황과 출소 계획 183
4. 사회복귀 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수요 184
5. 출소예정자의 갱생보호 및 보호관찰 처우에 대한 인식 185

제5장 외국의 수형자 사회복귀 관련 처우 연계 제도 및 실태 187
제1절 미국의 출소준비 처우와 사회복귀지원 처우 187
1. 개 관 187
2. 교정시설로부터의 석방과 사회복귀 189
3. 수용자의 사회복귀촉진을 위한 연방정부의 지원 194
4. 주 교정시설에서의 출소준비 처우 204
5. 결 어 218
제2절 영국의 형사사법기관 협력체계 220
1. 형사사법기관 협력체계의 의의 220
2. 형사사법기관 협력체계 관리 대상 현황 222
3. 형사사법기관 협력체계의 유형 225
4. 소 결 230
제3절 일본의 출소자 관리와 처우 231
1. 출소자 관리와 처우의 의의 231
2. 출소자 관리와 처우 현황 233
제4절 캐나다의 출소자 사회복귀 지원체계 244
1. 출소자 사회복귀 지원체계의 의의 244
2. 출소자 사회복귀 지원체계 246

제6장 외국의 수형자 사회복귀 지원 프로그램 257
제1절 취업 지원 프로그램 257
1. 취업 지원 프로그램의 중요성 257
2. 취업 및 취업상태 유지를 위한 프로그램 260
3. 경력 개발 프로그램 266
4. 인지행동요법과 고용 지원 프로그램 269
제2절 주거 지원 프로그램 273
1. 주거 지원 프로그램의 중요성 273
2. 가석방을 준비중인 수형자를 위한 중간처우의 집 프로그램 275
3. 조건부 석방자들을 위한 지역사회 기반의 거주시설 279
제3절 가족관계 지원 프로그램 282
1. 가족관계 지원 프로그램의 중요성 282
2. 가족관계 증진 프로그램 286
3. 수형자 및 수형자의 가족 지원 프로그램 291
제4절 건강 지원 프로그램 297
1. 건강 지원 프로그램의 중요성 297
2. 약물치료 서비스 프로그램 298
3. 정신질환치료 서비스 프로그램 300
4. AIDS치료서비스 프로그램 304

제7장 수형자의 사회복귀 지원을 위한 처우 연계와 개선 방안 309
제1절 수형자의 사회복귀과정 단계별 처우의 개선방안 309
1. 구금시설 내 단계의 처우 개선방안 309
2. 구조화된 사회복귀 단계의 처우 개선방안 318
3. 지역사회 재통합 단계의 처우 개선방안 321
제2절 수형자 사회복귀 지원 처우 프로그램의 개선방안 330
1. 취업 지원 프로그램의 개선방안 330
2. 주거 지원 프로그램의 개선방안 339
3. 가족관계 지원 프로그램의 개선방안 342
4. 건강 지원 프로그램의 개선방안 353
제3절 수형자 사회복귀과정에서 협력관계 구성 방안 358
1. 형사사법기관 및 관련 행위자의 협력관계 구축의 중요성 358
2. 형사사법기관의 역할과 협력관계의 구축 360
3. 범죄자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형사사법기관의 협력체계 개선 367
4. 사회적응 지원을 위한 지역사회의 역할과 연계 강화 370

제8장 맺음말: 요약 및 결론 377
제1절 수형자 사회복귀과정의 단계 구분 378
제2절 사회복귀과정의 단계별 처우의 개선방안 379
제3절 출소예정자의 사회복귀 처우 실태 및 욕구 380
제4절 주요 사회복귀 지원 프로그램의 유형과 특성 383
제5절 사회복귀과정에서 유관기관의 협력관계 구축 385
제6절 사회안전을 위한 고위험 범죄자집단의 관리 및 감독 387

참고문헌 393
영문요약 409
부 록 413
<부록 1> 국가별 재복역률 비교 413
<부록 2> 출소예정자 심층면담 자료 414
<부록 3> 교정공무원 심층면담 자료 431
<부록 4> 가석방보호관찰대상자 심층면담 자료 439
<부록 5> 보호관찰공무원 및 갱생보호공단 직원 심층면담 자료 445
<부록 6> 갱생보호대상자 심층면담 자료 450
<부록 7> 사회복귀 지원을 위한 설문조사 457

첨부파일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