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메뉴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상소제도의 개편에 따른 문제점과 개선방안

  • 작성일2007.01.24
  • 조회수1,020

상소제도의 개편에 따른 문제점과 개선방안

좌우로 스크롤 하시면 표의 전체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

연구책임자, 소속기관,내부연구참여자,외부참여연구자,발행기관,공개여부,출판일,등록일,페이지,분류기호,언어,판매여부,판매가격,보고서유형,ISBN,표준분류,연구유형,자료유형
연구책임자 소속기관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내부연구참여자 외 1인 외부참여연구자
발행기관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공개여부 공개
출판일 2006-12 등록일 2007.01.24
페이지 0 분류기호 06-20
언어 한국어 판매여부 판매중지
판매가격 7000 보고서유형
ISBN 표준분류
연구유형 자료유형
국문요약 11

제1장 서 론 27

제1절 연구의 의의 27
제2절 연구의 방법 29

제2장 외국의 상소제도 31

제1절 미국의 상소제도 31
1. 미국 사법제도의 특색 31
가. 연방국가의 사법제도 31
나 배심재판제도와 심급제도 32
2. 미국 상소제도의 형성과정 33
가. 연방 상소제도의 출범 33
나. 연방항소법원의 출범 34
다. 미국법상 항소와 상고 35
3. 미국 상소제도의 특색 36
가. 연방항소법원과 연방대법원의 관계 36
나. 미국법상 상소(appeal)의 대상 37
다. 미국법상 상소이유 38
라. 재량적 상소수리제도 39
마. 상소이유서제도 40
4. 미국 연방대법원의 기능과 위상 41
가. 연방대법원의 기능 41
나. 미국 상소제도의 의의와 영향 42
제2절 독일의 상소제도 43
1. 용어의 정리 43
가. 항소와 상고 43
나. 항소심의 구조 44
다. 독일의 연방체제와 사법조직 46
2. 독일 제국의 사법제도 변천 46
가. 제국 형사소송법의 탄생과 상소제도 46
나. 에밍거 개혁과 상소제도 47
3. 독일의 현행 상소제도 48
가. 법원조직 개관 48
나. 구법원 관할사건과 상소제도 49
다. 지방법원 관할사건과 상소제도 51
라. 주상급법원의 관할사건과 상소제도 52
마. 상소제도에 대한 개정논의 52
4. 독일 항소제도의 특징 55
가. 독일법상 항소의 개념 55
나. 항소절차의 특색 55
5. 독일 상고제도의 특징 56
가. 독일법상 상고의 개념 56
나. 상고이유의 범위 57
다. 소송법령위반 사유의 특수성 58
라. 절대적 상고이유와 상대적 상고이유 58
마. 실체법령위반과 상고이유 59
바. 상고심의 심리절차 61
6. 독일 상소제도의 특색 62
가. 이원적 구조의 상소제도 62
나. 상고심 업무량 경감방안 63
제3절 일본의 상소제도 64
1. 전전의 상소제도 개관 64
가. 상소제도와 독일법의 영향 64
나. 용어정리의 필요성 66
다. 전전 일본의 심급제도 66
2. 전전의 항소제도 67
가. 항소와 상고의 개념정의 67
나. 전전의 항소심 폐지론 67
다. 전전의 항소심 절차 69
3. 전전의 상고제도 69
가. 법령위반과 상고이유 69
나. 상고이유의 확장 71
다. 전전 상고심 절차의 특색 72
라. 전전의 상고심 개편론 73
4. 전후 상소제도 개편의 특징 74
가. 상소제도에 대한 영미법의 영향 74
나. 상고심의 개편 75
5. 전후 상소제도 개편의 내용 76
가. 항소이유의 전진배치 76
나. 항소이유의 분류 78
다. 항소이유서제도의 도입 79
라. 1954년 형사소송법의 일부개정 80
마. 항소심의 공판절차 81
바. 상고이유의 재편성 83
제3장 한국의 상소제도 87

제1절 의용형사소송법 시대의 상소제도 87
1. 문제제기의 필요성 87
가. 형사사법의 운영주체 87
나. 식민지 형사사법제도의 특징 88
다. 상소제도에 대한 인식부족 89
2. 의용형사소송법과 상소제도 90
가. 일제하의 심급제도 90
나. 상고이유의 제한 91
3. 해방후 사법제도의 재편과 영미법의 영향 92
제2절 제정형사소송법 시대의 상소제도 93
1. 형사소송법 제정의 기본방침 93
가. 법전편찬위원회의 출범 93
나. 형사사법 개혁의 여건 94
2. 1954년 제정형사소송법의 특색 96
가. 의용형소법의 구조 유지 96
나. 기존 상소제도의 유지 97
3. 제정형사소송법과 상소제도 97
가. 의용형소법 방식의 상소제도 97
나. 의용형소법과 제정형소법의 여건변화 100
다. 상고사건의 적체와 대법원의 이원적 구성 100
제3절 1961년 형사소송법 시대의 상소제도 102
1. 최고회의의 출범과 사법개혁 102
가. 사법개혁을 위한 의견수렴 102
나. 1961년 개정형사소송법과 당사자주의 강화 103
2. 항소심의 개편 103
3. 상고심의 개편 105
가. 고등법원 상고부의 도입 105
나. 전후 일본 형소법과의 비교 106
다. 상고이유의 제한 108
라. 대법원의 기능과 위상 110
4. 상소제도 개편에 대한 반발 110
가. 사법감독관회의와 항소심의 구조 110
나. 공소장낭독 거부사건 111
다. 항소심의 구조에 대한 논전 113
라. 변호사단체의 비판 114
제4절 1963년 개정형사소송법 이후의 상소제도 114
1. 항소제도의 개편 114
가. 항소이유의 재편성 114
나. 개정된 항소심의 특색 117
2. 상고제도의 개편 118
가. 상고이유의 재편성 118
나. 기타의 상고이유 120
다. 상고이유서제도의 실종 121
라. 상고심의 업무량 증가 123
제5절 사법개혁위원회의 상소제도 개편논의 125
1. 대법원의 기능과 위상 125
가. 대법원의 업무량 과중 125
나. 재야 법조계의 인식 127
2. 사법개혁과 상소제도의 개편 128
가. 사법개혁위원회의 건의문 128
나. 사법제도개혁추진위원회의 법률안 130
3. 1961년 고법상고부제도의 실패요인 132
가. 1961년 고등법원 상고부의 구상 132
나. 고법상고부제도와 전후 일본 상소제도의 비교 132
다. 변호인의 수급문제 134
라. 기성 법조인의 인식 135
마. 법원의 위상과 사실심리 136
바. 제1심 공판절차의 부실과 항소심의 역할 136
제6절 한국 상소제도의 개선방안 137
1. 항소심제도의 개편 137
가. 변호사인력의 확충 137
나. 항소심의 사후심 강화 138
2. 상고심제도의 개편 140
가. 상고사건의 적체 140
나. 상고사건의 적체와 전관예우 141
다. 상고사건 적체해결과 재야 법조계의 협조 142
라. 국민적 관점에서의 상소제도 개편 143

참고문헌 145

영문요약 149

첨부파일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TOP